Photo Image
LTE 기지국 장비

5세대(5G) 이동통신 가입 전환에 따라 롱텀에볼루션(LTE) 데이터 트래픽이 지속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LTE 대역 중 5G 광대역 공급이 가능한 2.6㎓ 주파수 재배치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다만 아직 5G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데다 통신사들도 추가 설비 투자에 소극적인 만큼 2.6㎓ 주파수 활용법에 대한 정부 고민이 깊어졌다.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LTE 트래픽은 15만4899테라바이트(TB)로 지난해 같은 기간 20만3121TB 대비 23.7% 감소했다. 2021년 29만6094TB와 비교하면 절반으로 줄었다.

상대적으로 5G 트래픽은 증가세다. 2021년 53만5134TB에서 올 상반기 92만2360TB로 2배가량 늘었다. 전체 무선 트래픽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G가 84.3%, LTE는 14.2%에 그친다.

이에 따라 2026년 이용기간이 만료되는 LTE 주파수 대역 재할당 정책에 관심이 쏠린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2019년 발표한 5G+ 스펙트럼플랜을 통해 LTE로 할당한 2.6㎓ 대역의 5G 광대역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2.6㎓ 대역의 경우 현재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LTE 용도로 사용 중인 주파수분할송수신(FDD) 대역을 시분할송수신(TDD)으로 전환하면 2.5㎓부터 2.69㎓까지 160㎒폭의 5G 광대역으로 공급이 가능하다.

LTE용 2.6㎓ 대역 회수를 통해 5G 주파수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 과기정통부가 2.6㎓ 대역 이용기간을 2026년까지 5년으로 고정한 것도 중장기적 LTE 트래픽 감소세와 5G 트래픽 증가율 수용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Photo Image
주파수 이용 생애주기(사진=과기정통부)

문제는 5G 주파수 추가 할당을 원하는 수요가 줄었다는 점이다. 5G 전환율은 70%에 달하지만 데이터 트래픽 증가세는 정부 예측보다 더디다.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80만~90만대TB에서 정체돼있다.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등 5G 킬러콘텐츠 시장이 기대에 못미쳤다. 이통사들도 보유 5G 주파수에 여유가 있는 상황이다. SKT가 5G 주파수 3.7~3.72㎓ 대역 20㎒폭에 대한 관심을 거둔 것도 이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2.6㎓ 대역을 LTE에서 5G로 용도변경해 광대역으로 공급하면 5G 주파수 가용성은 높일 수 있겠지만 기업 입장에서 당장의 실익은 크지 않다”면서 “이미 구축한 2.6㎓ 대역 LTE 장비를 버리고 5G 장비를 새롭게 구축하는 것도 부담”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5G 트래픽이 생각보다 폭발적으로 늘지 않은 상황에서 2.6㎓ 대역 회수에 신중한 분위기다. 알뜰폰을 중심으로 LTE 가입자도 많은 만큼 이용자 보호 등 정책적 이슈와도 맞물려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2026년 이용기간이 만료되는 3G·LTE용 800㎒·900㎒·1.8㎓·2.1㎓·2.6㎓ 대역의 재할당 정책 방향은 내년 6월 결정할 방침”이라며 “2.6㎓ 경우 LTE로 재할당할지, 회수해서 5G 용도로 재배치할지 데이터 트래픽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여러 가능성을 두고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