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전기 생산하며 기계적 손상 자가 치유하는 에너지 소자 신기술 개발

고성능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이용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개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이건우)은 이주혁 에너지공학과 교수팀이 자가 치유, 생분해성 및 높은 양전 특성을 갖춘 이온성 폴리우레탄 기반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소자는 자가 치유와 생분해가 가능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이온성 액체를 사용해 출력 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 소자로 설계됐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차세대 소프트 전자기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지속 가능한 전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Photo Image
DGIST가 전기를 생산하며 기계적 손상을 자가 치유하는 에너지 소자 신기술을 개발했다. 왼쪽부터 주현서 박사과정생, 이주혁 교수.

최근 마찰을 통해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차세대 에너지원으로서 발전소자가 활용되기 위해서는 높은 내구성과 안정적인 전력 생산이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마찰로 인한 기계적 손상을 자가 치유할 수 있어야 한다. 또 기능을 상실한 소자가 미생물 등에 분해되는 친환경 기술까지 접목되면 그 활용가치가 더욱 크다.

연구팀은 친환경적이면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을 소재로 하는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개발했다. 이미다졸이움 이온을 활용해 자가 치유 기능과 높은 양전 특성을 부여하고, 폴리카프로락톤(PCL) 기반 폴리우레탄을 사용해 생분해성을 갖춘 '이온성 폴리우레탄'을 제작했다. 이를 활용해 마찰대전 발전소자도 개발했다.

Photo Image
연구팀이 개발한 이온성 폴리우레탄 기반 마찰대전 발전소자. (a) 이온성 폴리우레탄 기반 마찰대전 발전소자의 도식화. (b)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구성하는 이온성 폴리우레탄의 구조 (마찰층&전극). (c) 마찰대전 발전소자의 구조. (d) 이온성 폴리우레탄 구조에 따른 마찰대전 발전소자의 전력 밀도 비교 (e) 이온성 폴리우레탄 (IPU 8) 기반 마찰대전 발전소자의 커패시터에 따른 충전 전압 비교

이온성 폴리우레탄은 자가 치유와 생분해가 가능함과 동시에 높은 양전 특성을 가져 전기에너지 생산에 매우 효율적이다. 차세대 소프트 전자기기의 지속 가능한 전력원으로서 자가 치유되며, 사용 후 생분해가 가능해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구팀은 다양한 조건에서 이온성 폴리우레탄 기반 소자의 출력을 분석한 결과, 최고 436.8㎽/㎡의 전력 밀도를 생성하며 자가 치유 효율이 약 90%임을 확인했다. 또 사용 후 약 300일에 걸쳐 생분해 과정이 진행됐을 때 소자의 초기 질량 대비 약 21%만 남는 것을 확인했다.

이주혁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높은 출력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자가 치유 및 생분해 기능을 통합한 효율적인 소재를 개발했다”며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지속 가능한 전력원을 제공 가능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상용화를 위해 후속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NRF)의 지원을 통해 진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에너지 공학 분야의 저명 국제 학술지 중의 하나인 '나노 에너지(Nano Energy)'에 게재됐다.


대구=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