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베이비부머 954만명 은퇴…성장 잠재력 제약 우려

Photo Image
자료=한국은행

올해부터 2차 베이비부머 세대(1964~1974년생)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성장잠재력이 제약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다만 고용연장 제도, 연금제도 개선 등 정책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은행은 1일 이런 내용을 담은 '2차 베이비부머 은퇴연령 진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은은 2차 베이비부머 대규모 노동시장 이탈로 인해 올해부터 향후 11년에 걸쳐 연간 경제성장률이 0.38%포인트(P) 하락할 것으로 추정했다. 60대 남녀 고용률이 작년 수준을 유지한다고 가정한 결과다. 총요소생산성 및 실물자본 스톡에 미치는 영향 등은 고려하지 않았다.

이는 한은이 추정한 1차 베이비부머 은퇴에 따른 경제성장률 하락 폭(0.33%P)에 비해 0.05%P 높은 수준이다. 2차 세대 은퇴가 1차에 비해 대규모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올해 법적은퇴연령 60세에 진입하는 2차 베이비부머(1968-74년생)는 954만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18.6% 수준이다. 1차 (1955~63년생) 705만명(13.7%)보다 250만명 많다.

다만 한은은 고용 정책 지원 등이 뒷받침되면 경제성장률 하락 폭을 전망치보다 최대 0.22%P 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2차 베이비부머 특성인 △계속근로의지 △높은 인적자본 △소득·자산여건이 정책 지원 효과를 높일 것으로 판단했다.

실제 2차 베이비부머는 계속 근로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55~79세를 대상 설문조사에서 계속근로를 희망하는 응답자 비중이 2023년 68.5%로 2012년(59.2%)에서 약 10%P 상승했다.

한은은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이 본격화되는 시기에 성장한 2차 베이비부머 교육 수준· IT 활용 능력 등을 고려했을 때 변화하는 일자리 적응력이 높을 거라 내다봤다.

Photo Image
자료=한국은행

비교적 소득이 높고 보유 자산이 많은 특성도 정책적 지원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봤다. 소비 여력이 상대적으로 양호하고 사회·문화적 활동에 대한 수요도 높아 정책적 지원을 활용하여 내수기반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2차 베이비부머의 평균 순자산 규모는 1차에 비해 24.6% 높은 규모다.


박유민 기자 newm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