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고정밀 위치정보를 적용한 드론이 해양누리호를 출발해 육상에 마련된 목표지점에 정확히 착륙하고있다.

해양PNT통합연구단(단장 박상현)은 지난 27일 울산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에서 해양 고정밀 위치정보를 실제 선박에 적용한 성과를 검증하는 시연행사를 개최했다.

연구단는 해양수산부 지원으로 선박 자율·무인화 등 기술이 융·복합된 첨단 해양 모빌리티의 안정적인 항법을 지원하고자 GPS 위치오차를 10m에서 5㎝까지 대폭 줄인 고정밀 해양 위치서비스 기술개발 사업을 수행 중이다. 2020년부터 시작해 올해 말 완료 목표다.

해양 고정밀 위치정확도 확보는 다양한 해양 모빌리티와 수로측량 및 항만·플랜트 건설 등 공공안전 분야에 핵심이 되는 기술로 평가받는다.

미국·유럽연합(EU)·중국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도 정확하고 안정적인 위치정보 제공 기술을 선점하는데 치열한 각축을 벌이고 있는 분야다.

이번 행사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건조된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의 '해양누리호'(자율운항시험선)를 통해 전 과정을 시연했다.

먼저 고정밀 위치정보를 적용한 드론을 해양누리호에서 육상의 목표지점으로 보내 이동경로를 실시간 중계하여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수평 위치오차 5㎝급 성능을 확인했다.

이어서 해양누리호에 고정밀 위치정보 시스템을 탑재하고 지정경로를 운항하며, GPS와의 위치 정확도 비교를 통해 개발기술의 우수함을 실증했다.


박상현 해양PNT연구단장은 “㎝급 해양 위치정보 기술은 자율운항선박, 스마트 항만 등 미래 선박해양 분야 기술 선점과 산업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앞으로 우리나라 고정밀 해양위치 기술이 국제 표준을 이끌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