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청, 미래戰 핵심 비대칭 정찰 드론에 90초 통신 지연 기술 TCP 낙점 우려

Photo Image
방사청은 312억원 규모의 정찰 드론 구매사업을 진행하면서 드론의 TCP와 UDP 기술 채택 논란을 일으켰다. (사진 게티이미지)

방위사업청(이하 방사청)이 약 312억원을 투입해 육군·해병대에서 운영할 근거리 정찰드론을 구매하는 방위력 개선사업이 사업자 최종 발표를 코앞에 놓고 작전지역에서 근거리 드론 통신 체계의 실효성 논란이 거세게 제기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드론 업체 A·B 기업 2곳이 방사청의 근거리 정찰 드론의 기술 성능 시험 평가를 모두 통과하고 가격 협상도 마치는 등 최종 사업자와 근거리 드론 기종 선정 발표를 앞두고 있다. 이 사업은 보병·기동·신속 대응·상륙사단 예하 대대에서 중대를 지원해 작전지역의 감시 사각 지역, 적 매복 예상지점 등에 대한 정밀 정찰이 가능한 근거리 정찰드론 구매사업이다.

특히, A 기업과 B 기업은 정찰 드론에 UDP(User Datagram Protocol)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등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있다. 어떤 통신 프로토콜이 낙점되느냐에 따라 미래 전쟁을 주도할 비대칭 전력 체계인 근거리 드론 획득 사업 성패가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통신프로토콜 UDP와 TCP는 각각 장단점이 있다. UDP는 연결 지향성이 없고 빠른 전송이 가능해 실시간 성능이 중요할 때 유용하다. 반면 신뢰성이 낮아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TCP는 모든 패킷을 손실 없이 순서대로 전달해 중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유용하지만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추가 확인 작업(ACK)을 수행해 실시간 성능이 중요한 경우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드론 통신에서 TCP는 평상시 펌웨어 업데이트 등 특정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지만, 군 작전 상황에서 실시간 성능이 중요한 경우에는 UDP가 더 적합하다는 지적이다. UDP는 연결 지향성이 없고 빠른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드론 원격 제어·실시간 영상에 주로 사용된다.

특히, 작전 중 근거리 정찰 드론이 조종자와의 실시간 명령 지연 시간으로 장애물 등장 시 파손 등 무용지물이 될 수 있어 드론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할 때는 목적에 맞는 프로토콜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방사청은 기술 가격 등 종합평가에서 UDP 방식의 정찰 드론이 아닌 TCP 방식의 정찰 드론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성능평가에서 실시간 물리적 정의도 1분 30초에 둔 것으로 전해졌다.

드론 운용개념에서 드론은 12~14m/s으로 비행해 90초의 지연시간을 가진 통신은 실시간 상호피드백과 조작이 불가능해 언제 추락할지 모르는 시한폭탄과 같다는 지적이다. 방사청이 정찰 드론 획득 목적을 작전지역에서 중대원의 신속 대응을 위한 정찰 드론 지원이 아닌 그렇다고 조종자의 고품질 영상 기반의 정확한 드론 제어 지원도 아닌 애매한 수요에 두고 있다.

A 업체 관계자는 “TCP는 실시간이 있어야 하는 통신환경에서는 전 세계적으로도 채택되는 사례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라면서 “선진국의 경우 드론에서 데이터 통신프로토콜은 UDP를 채택한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송수신 지연보다는 파일의 완결성이나 신뢰성을 더 중시하는 중요문서 및 데이터, 웹 브라우징, 완전무결의 영상파일 전송에는 TCP가 더 적합하지만 실시간 음성·영상 스트리밍, 실시간 제어·조작을 위한 명령값 전송, 실시간 상호교류 및 피드백을 해야 하는 정찰 드론 운용에서는 UDP 전송방식이 더 적합하다”라고 강조했다.


안수민 기자 smah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