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기술과 안정성 등을 개발·검증할 지하연구시설 조성에 착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18일부터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지하연구시설 확보를 위한 부지공모를 시작한다.
산업부는 제2차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연구개발(R&D) 로드맵을 통해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을 활용한 방폐물 관리기술 확보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은 고준위 방폐장과는 별개 부지에 건설하는 순수 연구시설로 운영 과정에서 사용후핵연료와 방사성폐기물이 반입되지 않는다. 앞서 미국·독일·스웨덴·스위스·캐나다·벨기에·프랑스·일본 8개국이 지하연구시설을 조성한 바 있다.
연구시설은 고준위 방폐장 심도와 비슷한 지하 약 500m에 위치한다. 우리나라 고유의 암반특성과 한국형 처분시스템의 성능 검증 관련 실험·연구가 진행된다. 이와 관련한 전문인력 양성도 진행하며 일반국민이 고준위 방폐장과 유사한 환경을 체험할 수 있는 시설로도 활용된다. 고준위 방폐물 관리 특별법 제정 이후 추진할 고준위 방폐장 부지선정, 건설 및 운영 과정에서 이 시설에서 개발한 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다.
연구 시설 부지선정을 위해 원자력환경공단이 부지선정평가위원회를 별도 구성 후, 기초지자체가 제출한 유치계획서와 현장 부지조사 결과를 토대로 암종적합성 등 8개 항목을 평가하고 연내 부지선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2026년 구축사업 시작 후 2032년 최종준공 목표이며, 운영기간은 2030년부터 약 20년간이다.
산업부는 고준위 방폐장 운영전까지 연구시설을 통해 필요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연구시설이 최종 처분장으로 활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한 홍보도 강화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연구시설은 고준위 방폐장과는 별도의 시설로 연구시설을 유치한 지자체가 최종 처분장 선정에 참여하지 않으면 연이어 활용할 수 없다”면서 “연구시설이 최종 처분 시설로 활용된 사례는 세계적으로 프랑스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관심을 보이는 복수의 지자체가 있다”며 “연구시설이 해당 지자체에 들어서면 운영 기간 동안 최대 3000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한다”고 덧붙였다.
산업부와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25일 관심 지자체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유치의향서는 7월 19일까지, 유치계획서는 8월 2일까지 접수하며, 접수처는 원자력환경공단이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