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플러스]라이즈 시행 앞둔 대학, 사업 유지 가능할지 우려 목소리 높아

Photo Image
지난 21일 대전에서 열린 전문대 RISE 대응 광역자치단체 및 유관기관 토론회. (사진=이지희 기자)

“라이즈 시행을 앞두고 사업단도 지자체도 경험이 없다 보니 사업 유지를 어떻게 할지 막막한 상황이다.” (A대 사업단 관계자)

내년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전환을 앞두고 사업 중단과 축소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계속해서 나온다.

창업 관련 사업에 참여한 A대 관계자는 “현재 운영하고 있는 사업은 대학이 직접 예산을 받아 운영하던 것으로 대학 특성에 맞게 활용하고 있었다”면서 “라이즈 이후 현재 창업 사업과 분야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지자체가 예산을 어떻게 나눈다는 건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교육부 산하기관 관계자는 “우리도 세부적인 부분까지 알 수 없어 대학에도 말해주지 못한 상황”이라며 “최대한 교육부에 사업 유지를 피력할 뿐”이라고 말했다.

대부분 대학재정지원사업은 기간 차이는 있지만 연차사업으로 진행된다. 사업에 선정되면 사전에 고지된 기간동안 사업을 수행하고 이후 평가를 거쳐 N(엔)년을 추가로 진행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막 시행한 사업을 진행한 대학의 경우, 라이즈 이후 연차사업 행방과 사업이 지금처럼 유지될 수 있을지 걱정하고 있다.

대학 재정지원사업을 지원하는 교육부 한 관계자는 “라이즈로 전환되는 과정 중이라 예산이 계획이 나오지 않았다”며 “사업 지속 여부에 대해서는 아는 것도 없어 섣불리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Photo Image

대학이 밀집된 서울·수도권 대학은 라이즈 전환 이후 오히려 지역만큼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라이즈 목적이 '지역인재 양성-취·창업-정주 생태계 구축'의 비전, '대학과 지역의 동반 성장'으로 서울·수도권에 맞지 않다는 것이다.

B대 기획처장은 “수도권 대학에서 특정 분야 전문가를 키운다 해도 수도권에 관련 기업이 없다 보니 지역으로 내려가 취업하는 경우가 있다”며 “지역 정주를 강조하는 라이즈 시스템 자체가 수도권과 맞지 않는 부분이 많다”고 강조했다.

전문대도 라이즈 시행을 앞두고 걱정의 목소리가 높다. 수도권 C전문대 총장은 “교육부 중심의 재정지원 체계에서는 전문대에 특화한 사업이 있어 전문대에도 일정 부분 예산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라이즈 체계는 다르다”면서 “라이즈로 전환되면 서울·수도권 대형 일반대, 연구 중심 대학으로 예산이 집중돼 전문대는 다소 불리하지 않겠냐”고 지적했다.

한편, 교육부는 국회 심의를 거쳐 올해 12월 2조원 이상 규모의 내년도 라이즈 예산을 확정한다. 이후 시도별 예산 배분을 거쳐 각 시도의 라이즈 5개년 계획도 나온다. 최은희 교육부 인재정책실장은 “자문은 물론 예산 확보, 지자체별 추진체계 구축 등 라이즈 전국 시행을 위해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지희 기자 easy@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