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박종은 의과학대학원 교수, 최정균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세계 최대 규모 암 조직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세훈 삼성서울병원 교수팀과 함께 면역 치료 예후 예측에 중요한 세포 생태계 타입을 보고했다고 22일 밝혔다.
암은 몸 안에서 스스로 진화하는 특성을 가져 내부 세포 생태계를 구성하는 각 세포 이질성, 이들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발달하는 단일세포 및 공간 전사체는 미세환경을 구성하는 세포들과 그들의 3차원적 배열 및 상호작용을 정량적으로 측정 및 표현한다는 점에서 미세환경의 이질성 개념을 생태계 수준으로 확장해 디지털 정보의 형태로 저장 및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연구팀은 암세포 생태계 타입들을 전 암종(pan-cancer) 수준에서 규명하기 위해 약 1000개 암 환자 조직 샘플, 500여 명 정상 조직 샘플에 대한 단일세포 전사체 데이터를 30종 이상 암종에 대해 수집해 모든 암에 대한 세포 지도가 총망라된 전 암종 단일세포 지도를 구축했다.
내과 전문의가 포함된 연구진이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고, 메타데이터 재처리 및 암종 분류를 진행함으로써 암 조직을 구성하는 100여 개 세포 상태를 규정하고, 이들의 발생빈도를 바탕으로 각 암종별 조직의 상태를 분류했다.
또 미국의 암 환자 공공 데이터베이스(TCGA) 등의 대규모 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해 각 세포 상태가 암 환자의 치료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특히 여러 세포 상태 간의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서 암세포 생태계 네트워크를 구축했고, 이 중에서 삼차 림프 구조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인터페론 연관 생태계가 삼성서울병원 이세훈 교수 연구팀의 폐암 코호트를 포함해 면역관문 억제 치료를 받은 여러 암종들에서 면역관문 억제 치료 반응 예측에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박종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구축한 세계 최대 규모 암 조직 DB는 면역 치료 예후 예측에 중요한 영향을 줄 것”이라며 “소수의 환자에게 아주 좋은 치료반응을 보이나 일부의 경우 면역 관련 부작용을 나타내는 면역 관문 억제제의 치료 대상군 선정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지에 14일 자 출판됐으며, KAIST 세포 아틀라스 웹 포탈을 통해 공개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차세대바이오유망범용기술연구지원사업과 우수신진연구사업,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중심병원 육성사업, 융합형의사과학자양성사업 및 포스코사이언스펠로우십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