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야후 사태' 책임공방, 국회로 번지나

野 “상임위 열어 日 강탈 막아야”
정부 미온적 대응 비판 목소리
네이버 글로벌 사업 재편 촉각

Photo Image
지난 9일 오후 라인야후가 입주해 있는 일본 도쿄 지요다구의 도쿄가든테라스기오이타워에 사람들이 들어가고 있다. 걸어가는 사람 앞으로 '라인야후'라고 적혀 있다. 라인야후는 전날 네이버에 모회사의 공동 대주주 자리에서 물러나라는 요청을 공식화하면서 탈(脫) 네이버를 선언했다. 〈자료 연합뉴스〉

일본 라인야후 사태에 대한 책임 공방이 국회로 번질 기세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조속히 국회를 열어 일본의 라인 강탈 시도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의 대응이 미온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국민들의 관심도 커져 여야 정쟁은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네이버는 일본 라인야후에서 힘을 빼고 다른 글로벌 사업을 추진하는 전략 재편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네이버는 라인야후 지분 매각시 신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실탄'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 라인 플랫폼을 갖춘 소프트뱅크가 일본은 물론 동남아 시장에서도 우위를 가질 수 있어 지분 매각에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12일 국회 과방위 및 외통위 야당 간사인 조승래·이용선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의 라인 강탈 시도는 명백한 국익 침해이자 반시장적 폭거”라며 “즉각적인 상임위 개최와 국회 차원의 대응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또 “필요하면 상임위 간 연석회의도 열어야 할 것”이라며 “국민의힘은 조속히 상임위 개최에 협조하고, 국익 앞에 여야가 없다는 정도를 실천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조국혁신당도 같은 날 이번 사태에 대해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정부·여당을 압박했다.

이에 따라 라인야후 사태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간의 지분 협상이 진행되는 가운데 정부와 정치권의 책임 공방으로 번질 가능성이 커졌다.

네이버는 소프트뱅크와 라인야후의 모회사인 A홀딩스의 지분 매각을 둘러싸고 협상을 진행 중이다.

정부에 따르면 네이버는 일찌감치 라인야후의 일본 사업 조정을 검토한 것으로 보인다. 라인야후는 2019년 11월 '야후재팬'을 운영하는 Z홀딩스(소프트뱅크)와 라인(네이버)이 경영통합을 선언하며 출범한 회사다. 일본 최대 검색 서비스, 일본 최대 메신저를 운영 중인 회사가 각각 통합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기대했다. 하지만 자본 관계 재조정을 언급한 일본 총무성의 2차 행정지도와는 별개로 양사 간 사업통합 효과가 적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지난 10일 “네이버는 자사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라인야후에 접목시키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어 지분매각을 포함한 여러 대안을 중장기적인 비즈니스적 관점에서 검토해 왔던 상황”이라고 전했다.

네이버 입장에서는 라인야후 지분을 일부 매각하고 새로 글로벌 전략을 재편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치가 높은 라인야후 지분을 매각하고, 미래 사업과 다른 글로벌 시장에 투자할 실탄을 확보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인야후의 시가총액을 고려하면 지분을 일부만 매각해도 수조원 규모 실탄을 확보할 수 있다. 9일 종가 기준 라인야후의 시가총액은 2조8000억엔, 우리 돈 약 24조3000억원에 달한다. 네이버가 소유한 라인야후 지분율을 감안하면 지분가치는 8조원 정도다.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포함하면 10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지분 매각 시 네이버의 글로벌 전략은 변화가 불가피하다. 네이버는 최수연 대표 취임 직후인 2022년 '글로벌 3.0' 전략을 발표하면서 2027년까지 매출액 15조원, 글로벌 사용자 10억명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일본과 동남아 등지에서 2억명의 사용자를 확보한 라인을 바탕으로 둔 구상이었다. 현 상황에서 새 글로벌 전략을 제시해야 한다.

라인야후 지분매각이 동남아 사업까지 연계된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Z인터미디어트가 동남아 사업을 총괄하는 라인플러스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면서 “라인야후 지분을 매각하면 라인플러스 경영권도 소프트뱅크가 가져가고 (네이버의) 동남아 사업도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변상근 기자 sgbyun@etnews.com, 최기창 기자 mobydi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