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연매출 700억원대인 중소 정보기술(IT)서비스 회사 조인트리가 자금난을 못이겨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사회보장정보시스템, 통합지방재정시스템 등 굵직한 공공 유지·관리 사업을 담당한 만큼 관련 공공 시장 여파가 예상된다. 통합유지·관리 사업에 참여한 수백여개 솔루션 기업도 당분간 대금을 받지 못할 상황에 처했다.

3일 조인트리 관계자는 “경영정상화와 체질 개선을 통한 성장을 위해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고 보전처분결정과 포괄적 금지명령이 공고됐다”고 말했다.

2000년에 설립된 조인트리는 광주광역시에 기반을 둔 IT서비스 회사다. 공공 IT 유지·관리 전문 회사로 지난해 매출 772억원을 기록했다.

조인트리가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하면서 공공 유지·관리 시장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조인트리는 지난해 대보정보통신과 경쟁해 보건복지부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유지·관리 사업을 수주했다. 통합지방재정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를 비롯해 디지털트윈 기반 도시침수 스마트 대응시스템 구축 사업, 국방부 국방전산정보원 노후 네트워크 장비 교체 사업 등 다수 공공 사업을 수행중이다.

해당 공공기관들은 조인트리 기업회생 신청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운다.

한국사회보장정보원(사회보장정보시스템 담당)과 한국지역정보개발원(통합지방재정시스템) 관계자는 “법원 판단을 모니터링하면서 대응책을 마련 중”이라고 전했다.

통합유지관리사업에 참여한 솔루션 업계는 당장 대금을 지급 받지 못해 직접 피해를 입게 됐다.

조인트리가 법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대기업을 비롯해 중견·중소·소기업 등 300여개 기업이 채권자로 이름을 올렸다. 조인트리측은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하면 1년 정도 후 대금 지급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급 못한 금액 규모는 200억원에 달한다.

채권자에 이름을 올린 한 중소기업 대표는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간다고 하더라고 대금 지급이 바로 이뤄지지 않고 몇 번에 나눠 받거나 이 조차도 못 받는 경우가 다수”라면서 “사실상 받지 못할 가능성이 커 올해 매출 등 부정적 영향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조인트리가 기업회생에 이르게 된 배경으로 무리한 사업 확대에 따른 자금난 등 여러 요인이 꼽힌다.

조인트리는 3년 전만 하더라도 연매출 500억원대 였지만 2년전 700억원대로 올라선 후 지난해 800억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3년 전 40억원대 흑자에서 지난해 10억원대 적자로 돌아섰다.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00억원대 적자를 기록했다.

공공 사업 환경 문제도 경영난에 큰 영향을 줬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이후 개발자 임금이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공공 사업 대가는 물가상승률 인상조차 반영되지 못해 사업을 할수록 적자 규모가 커지고 자금 압박에 시달릴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면서 “사업대가 현실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제2, 제3의 조인트리 사태는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르면 내달 법원의 기업회생 명령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법원이 기업회생 기회를 부여하면 회생 계획안 제출 등 절차를 거쳐 기업 정상화에 돌입한다.

김흥중 조인트리 대표는 “법원이 기업회생 절차 개시를 명령하면 이를 통해 재무건정성 등을 확보해 새롭게 시작하려 한다”면서 “당장 어려움은 있겠지만 수주 잔고와 고객사가 많아 안정적으로 다시 시작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파산이 아니라 기업회생쪽을 택했기 때문에 현재 고객사 프로젝트도 문제 없이 계속 이어갈 수 있다”면서 “협력업체 대금 지급은 회생 절차 졸업 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박두호 기자 walnut_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