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관 전문가들이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이 기업 생산성, 나아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들은 우리나라 생성형 AI 경쟁력은 글로벌 상위 수준이지만 대기업 위주로 발전되는 것이 한계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기업은 물론 공공 부문의 AI 활용으로 산업별 성장 모델을 찾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자신문 주최, 한국CIO포럼·공공부문발주자협의회 후원으로 22일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CIO 서밋 2024'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생성형 AI 적용을 통한 혁신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데 공감했다.
엄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우리나라는 초거대·생성형 AI 생태계를 보유한 5대 국가 중 하나이며, 글로벌 국가 AI 경쟁력 순위도 6위로 역대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다만 생성형 AI 모델과 서비스를 위해서는 대규모 데이터와 컴퓨팅 자원 등 투자가 필요한 특성 탓에 아직 플랫폼 등 대기업 위주로 발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진요한 LG CNS AI 센터장은 “우리나라는 생성형 AI에 관심이 높지만 운영환경이나 민간투자 같은 실제 사용 관점에선 더욱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며 “원천 모델의 보유만큼이나 실제 기업들이 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는 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병곤 생성AI스타트업협회 이사는 “미국 정부 기관은 다양한 업무에 챗봇, AI 알고리즘 등을 활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민간과 공공에서 생성형 AI 활용과 적용 시 보완점을 제시했다. 또 민간은 물론 공공부문까지 디지털 전환의 성과 위에 생성형 AI의 체계적 도입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경상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는 “우리나라 생성형 AI 도입이 다른 나라에 비해 늦은 감이 있다”며 “인구절벽의 시대에 생성형 AI를 효율적으로 도입, 활용할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IO 서밋은 기업 최고정보책임자(CIO)를 비롯해 기업 IT 종사자에게 디지털 혁신을 위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행사다. 기업 정보화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최신 IT 동향 등 미래에 대비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15회째를 맞는 올해는 'GenAI, First!'를 주제로 생성형 AI에 대한 인사이트와 관련 기술을 소개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