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30년까지 소형원자로 상용화·6G 표준특허 선점”

전략기술 로드맵 수립
거대과학·필수기반 임무 중심
우주항공 분야 핵심부품 자립
인간 수준 자율로봇 AI 고도화

Photo Image
거대과학·필수기반 분야 전략로드맵

정부가 현재 대비 최대 50배 빠른 속도의 6세대(6G) 통신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로드맵을 내놨다. 발사체·위성 등 우주항공 분야 핵심기술과 부품은 자립화를 통해 신시장 개척에 나선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인간 수준의 자율로봇 기술을 고도화한다.

과기정통부는 1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를 열고 거대과학 및 필수기반 분야 임무중심 전략로드맵을 수립·의결했다.

로드맵은 기술 주권 확보가 필요한 핵심 기술을 식별해서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임무를 설정했다.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상용화와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위한 발사체·위성탑재체·달착륙선 핵심부품 자립화 등을 포함한다. 6G 통신 국제표준 확보, 로봇 분야 난제 극복, 초거대 인공지능(AI) 일상화 관련 사이버보안 등 핵심기술을 담았다.

차세대 원자력 분야는 세계 최고 수준의 경수로형 SMR 확보를 목표로 노심의 안전 성능을 극대화하는 기술, 제작 기간 단축의 혁신제조 기술개발 지원 등에 집중한다.

우주항공·해양 분야는 독자 기술 기반 신시장 개척을 목표로 △대형다단연소사이클엔진 △우주관측·센싱 △달착륙·표면탐사 △첨단항공가스터빈 엔진·부품 △해양자원탐사 등 5개 중점기술을 설정했다. 항공엔진의 경우 방위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코어엔진을 집중 지원하며, 본격적인 해양자원 개발시대에 대비해 해양자원의 탐사·채굴기술 확보도 지원할 예정이다.

차세대 통신은 표준특허 선점을 통한 6G 세계 시장 선도를 국가 임무로 설정하고 △6G 및 5G 고도화 △위성통신 △공급망 자립화를 위한 오픈랜 △고효율 핵심부품 등 5개 중점기술을 설정했다.

특히 6G는 최대 50배 빠른 속도(1테라비트·Tbps)와 10배로 단축된 지연시간(〈0.1㎳)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2026년까지 조기 확보한다.

통신 분야 공급망 구축도 강화한다. 개방형 오픈랜 관련 장비·SW 고도화와 함께 화합물 전력반도체 기반 안테나·무선모듈 등 6G 핵심부품 국산화율 제고에 도전한다.

첨단로봇·제조 분야는 △로봇 부품·SW 자립화 △자율이동 △고난도 자율조작 △인간-로봇 행동의 상호작용과 제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는 가상 제조 등 5개 중점기술 단위로 로드맵을 수립했다.

기술별로는 악천후·장애물 등 고난도 상황에서도 단시간(30초 이내 극복, 위치추정 오차 10㎝ 이내) 우회경로 탐색 기술, 인간 수준의 자율형 로봇 구현을 위한 AI 고도화 등 기술개발에 주안점을 둔다.

사이버보안 분야는 주요국이 의무화를 추진 중인 SW 구성요소를 식별하는 명세서(SBOM) 체계 및 보안 특화 AI 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SW 개발 단계부터 사이버보안 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는 사전 검증 체계 확립 등을 핵심 임무로 선정했다.

또, 양자컴퓨터 기술 발전에 의한 기존 암호체계 무력화에 대응하는 양자내성암호 등 초신뢰 암호 확보도 추진한다. 생성형 AI 본격화에 따른 AI 활용 보안, 사용자 인증·접근제어 강화 등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제로트러스트 보안모델 고도화도 핵심 목표로 제시했다.

특위 위원장인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추격자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초격차 전략기술 확보를 목표로, 세계 최고에 도전하는 혁신·도전적 연구개발(R&D), 차세대 기술 선점 등 기술패권 경쟁을 주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는데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