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4/01/09/news-p.v1.20240109.17f62cd9414540b0b35532037d41c9fa_P1.jpg)
서울대병원은 9일부터 만성 불면증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최초로 디지털 치료기기를 정식으로 처방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환자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디지털 의료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최초 처방되는 디지털 치료기기(DTx)는 에임메드에서 개발한 불면증 치료기 '솜즈'다. 지난해 2월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고 2022년 임상시험을 거쳤다.
'솜즈'는 만성 불면증 환자를 위한 표준치료법인 불면증 인지행동치료법(CBT-I)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체계적으로 구현한 디지털 치료기기이다. CBT-I는 수면시간을 처방하여 수면효율을 높이고, 불면증을 만성화시키는 인지적 오류를 수정한다. 환자의 잘못된 수면 습관을 개선하는 인지행동치료 기법이다.
의사에게 솜즈를 처방 받은 환자들은 앱을 이용해 약 6~9주간 실시간 피드백, 행동중재 및 수면 습관 교육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다. 맞춤형 비약물적 치료를 받아 불면증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4/01/09/news-p.v1.20240109.84815f7467544ccfaec9ab8e88c75d2a_P1.jpg)
이유진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솜즈를 처방하는 혁신의료기술 연구 책임자로 “10명 중 1명이 진단될 정도로 흔한 질환인 불면증의 가장 좋은 치료 방법은 인지행동치료이지만 환자가 매주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등 접근성의 문제로 많은 환자들이 받기 어려웠다”며 “이제 솜즈 같은 디지털 기술로 접근성을 높여 불면증에 대한 비약물적 치료를 보다 쉽게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환자들의 수면의 질을 개선해 신체·정신적으로 건강해지도록 하고, 수면제의 부작용을 줄이며 추후에는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정밀화된 치료를 제공하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솜즈는 처방 대상이 만성 불면증 환자이다. 소정의 연구 기준을 충족하면 비급여로 처방받을 수 있다. 참여 연구기관은 삼성서울병원, 고대안암병원, 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이다. 관련 행정절차가 완료되는 대로 처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임상진료 혁신의료기술 단계가 시작되는 오는 4월 이후에는 가까운 1차 의료기관에서도 처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