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5G 진화, 주파수 지원 뒷받침돼야

Photo Image
박준호 통신미디어부 기자

2023년은 통신업계에겐 시련의 해였다. 5세대(5G) 이동통신은 세계 최초 상용화라는 타이틀이 무색하게 품질 논란을 겪었다. '가짜 5G' 오명을 뒤집어쓴 이동통신사는 송사에 휘말리기도 했다.

그럼에도 5G는 양적·질적성장을 이뤘다. 숫자가 증명한다. 지난해 5G 가입자수는 500만명 이상 늘었다. 커버리지는 2배 이상, 다운로드 속도는 4.8% 빨라졌다. 이제는 성숙기에 접어들었다.

올해는 5G를 넘어 6G로 향하는 중간 길목인 5G-어드밴스드로 나아가는 원년이다. 우리 정부는 5G에 이어 6G에서도 글로벌 주도권 확보를 원한다. 이를 위해선 5G 진화 단계인 5G-어드밴스드를 위한 준비단계를 밟아야 한다.

핵심은 주파수다. 5G-어드밴스드는 초연결·초저지연 기능을 앞세워 확장현실(XR)과 인공지능(AI), 위성통신을 지원한다. 지금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많은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기존 이동통신에 할당된 미드밴드 대역만으로는 트래픽 증가율을 대응하기 어렵다.

정부는 올해 5G 주파수 종합 계획을 발표한다. 추가 할당 카드를 꺼낼지는 아직 미지수다. SK텔레콤이 요청한 3.70㎓~3.72㎓ 대역 20㎒폭 추가 할당도 1년 넘게 검토 중이다. 중대역 주파수 추가 확보를 위해서는 망 밀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역폭을 넓히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 주파수는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기본 자원이다. 대역폭을 넓혀야 서비스 품질도 높일 수 있다.

옆나라 일본은 한걸음 앞서가고 있다. 일본 총무성은 2026년 3월까지 4.9~5.0㎓ 대역을 추가 할당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중대역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일본에서도 5G 주력 대역이다. 증가하는 트래픽을 대비하고 경쟁 활성화와 기술 진화 대응을 위해 우리도 중대역 주파수 추가 할당이 필요한 시점이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