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추천 보험상품에 더 비싼 값 매겨..플랫폼 “무력화 우려”

Photo Image
보험

보험사들이 내년 초 출범하는 보험 비교·추천 서비스에서 플랫폼을 통해 가입하는 보험 상품 가격을 기존 다이렉트 상품보다 높게 책정할 계획이다. 플랫폼이 무력화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플랫폼·보험업계를 종합하면 일부 대형 보험사들은 내년 1월 시작하는 보험 비교·추천 서비스 전용 요율을 만들고 있다. 수수료 등을 반영하겠다는 것인데 비교·추천 플랫폼을 통해 들어오는 고객은 다이렉트 보험료 보다 비싼 값을 지불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뱅크샐러드 등 보험·비교추천 서비스에 참여하는 플랫폼은 금융당국 방침에 따라 수수료 상한선을 둔다. 보험 비교·추천 서비스의 메인 상품은 자동차 보험의 경우 고객 가입 총 보험료의 5% 미만에서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 보험사가 플랫폼에 지급한다. 최대 4% 전후 수수료가 예상되는 가운데 보험사는 이를 상품 가격에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플랫폼 업계는 이 같은 방안이 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보험 비교·추천 서비스와 비슷한 유입구조를 가진 CPS(cost per sale, 계약체결 완료) 방식 배너, 검색 광고를 통해 가입하는 보험 상품 가격에는 이미 10% 가량 수수료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10% 수수료가 반영된 현재 가격으로도 이미 이익을 보고 있는데, 이 보다 낮은 수수료를 적용하는 보험 비교·추천 서비스를 통해 가입하는 상품 가격이 더 높은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는 주장이다.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별도 마케팅 절차가 필요 없고 수수료도 낮은 보험·비교추천 서비스 상품 가격을 올리겠다는 것은 이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시켜 플랫폼 영향력을 낮추겠다는 '무력화' 의도라고 볼 수 밖에 없다”면서 “보험사들이 보험·비교추천 서비스 출범 당시부터 플랫폼과 표준API 논란 등으로 힘 겨루기를 한 것을 비추어보면, 결국 플랫폼을 쓸모 없이 만들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고객에게 쉽고 편하게 제대로 된 정보를 전달하고, 보험사 마케팅 비용을 줄여 고객에게 돌려줄 수 있다는 보험·비교추천 서비스 취지를 훼손한다는 것이다. 결국 비교·추천은 플랫폼에서 하고 가입은 보험사 홈페이지에서 따로 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금융당국은 요율 책정은 시장에 맡긴다는 방침이라 서비스 출범 전 이 문제가 해소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보험업계는 수수료가 새로 생기는 만큼 이 가격을 반영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통상 CM(온라인채널)으로 가입하는 보험은 수수료나 광고비는 물론 유지비, 관리비 등이 포함된 사업비 전체를 반영해도 총 보험료의 10% 안쪽에서 비용이 발생한다”면서 “수수료만 따로 떼고 보면 (보험을 새로 가입하는) 신(新) 계약이 아닌 경우에는 4%보다 훨씬 낮은 요율를 매기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