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재난안전통신망, 기술 고도화 필요하다

Photo Image
이원철 공공안전통신망포럼 글로벌산업위원회 위원장·숭실대 연구산학부총장

최근 열린 국제치안산업대전은 재난안전통신망(Public Safety Network)의 미래 발전 방향을 가늠할 최첨단 솔루션을 확인하는 장이 됐다.

우리 기업들은 기존 4세대 롱텀에벌루션(4G LTE) 기반 안정적 재난안전통신망에 5세대(5G) 이동통신 망의 대용량·초고속·초저지연 기술 특성을 결합해 고도화된 재난안전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4G-5G 망 상호 연동 기술'을 시연했다. 최신 3GPP 표준화 기술 기반의 차세대 미션크리티컬(핵심임무)-X(MCX)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기 시제품도 최초 선보였다. 또,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관제·제어와 초대용량의 실시간 현장 영상 전송을 위한 플랫폼 등 재난안전통신 서비스 발전 방향에 대한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현재 재난안전통신망은 안정적 기본 재난통신 기능과 커버리지 경제성을 제공하며, 재난 상황 시 다양한 이용기관간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는 단일화된 지휘 통신 전국망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Photo Image

최근에는 재난안전통신망을 이용하는 기관들이 고도화 솔루션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우선, 단시간에 좁은 지역에 인구가 밀집되는 대용량 트래픽 상황에서 이를 분산 또는 수용하기 위한 재난안전통신망 고도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심지 집회 또는 대규모 행사와 같은 상황에서는 단말접속 수와 트래픽 급증에 대응하기에는 무선 자원 제공에 한계가 있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특히 3개 망(PS-LTE·LTE-M·LTE-R) 간 무선 자원을 공유하는 지역인 경우에는 망 자원 부족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적절한 대안 수립이 시급하다.

또, 효율적 망 자원의 활용과 예방 관점에서의 재난 대응력 강화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된다. 높은 망 사용률을 보이는 광역시 등 규모가 큰 도시 지역에서는 평시에 유휴 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사고가 빈발하는 위험 지역·시설·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탐지와 예측용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신규 서비스의 도입으로 재난을 예측하거나,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필수다.

Photo Image
5G 재난안전통신망 개념

앞서 언급한 다양한 재난 상황에 따른 효과적인 대응 솔루션 대비와 사전 예방 및 신뢰성 있는 예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미래 재난 대응 기술에 대한 정부의 기술 고도화 로드맵 수립과 이를 기반으로 한 연구개발(R&D) 투자가 무엇보다 절실하다.

특히 글로벌 재난대응 기술 발전 추세와 재난안전통신 관련 국제 표준 관점에서 △대용량 트래픽 수용 및 분산 기술 △4G LTE와 5G망 간 상호 연동 기술 △4G 재난안전통신망과 5G 망 주파수를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기 개발과 검증용 테스트 베드 제공 △재난이 빈번하는 위험 지역·시설 및 환경에 대한 예측과 예방 중심의 모니터링 서비스 △AI·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환경 기반의 지능화된 재난 대응이 가능한 플랫폼 기술 △현장에서 네트워크 붕괴 시 현장 대응자 간에 직접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개발과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재난대응 백업망 구축 기술 등의 선행개발 투자와 도입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현재 재난안전통신을 위한 10㎒ 주파수 대역으로는 고도화된 빅데이터 중심의 재난 예측에 방점을 둔 대응 솔루션을 제공하기에 한계가 있다. 중장기적인 재난대응 주파수 정책 마련 또한 요구된다.

Photo Image
차세대 MCX 개념

우리나라가 2021년 세계 최초로 구축한 국가재난안전망을 기반으로 관련 국내기업, 산업의 지속 육성과 글로벌 수출, 기술 리딩을 위해서는 산업·학계·정부간 역할 분담과 긴밀한 협조와 협력이 중요하다. 학계와 산업계는 미래 첨단 재난 대응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정부는 R&D 기술 정책과 IT 인재 육성에 대한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정부 정책의 최우선 순위는 무엇보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며, 이를 위해 재난 대응의 미래 기술 개발과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일 것이다. 산업계와 현장에서 직접 재난을 대응하고 있는 이용기관과 전문가와 관련부처가 참여하는 정부 주도 대응 협의체를 기술패러다임 전환에 맞도록 구성하고, 최적의 미래 지향적 해결책을 수립할 것을 제안한다.

이원철 공공안전통신망포럼 글로벌산업위원회 위원장·숭실대 연구산학부총장 wlee@ssu.ac.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