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K콘텐츠 전략 육성…1조원 규모 펀드 만든다

Photo Image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4일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취임 후 첫 번째 정책으로 '영상산업 도약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유 장관은 “영상콘텐츠 산업의 체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이번 정책을 준비했다”며 “영상콘텐츠가 우리 콘텐츠 산업을 이끈느 핵심 축인 만큼 정책을 내실있게 추진해 확실한 성과를 거두겠다.”고 밝혔다.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정부가 2028년까지 1조원 규모의 콘텐츠 분야 전략펀드를 신설한다. 2021년 28조원 규모였던 영상 콘텐츠 산업의 규모를 40조원 수준으로 키우고 '킬러 콘텐츠'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4일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영상산업 도약 전략'을 발표했다. 유 장관 취임 후 첫 정책 발표다.

문체부는 2027년까지 영상 콘텐츠 산업 규모를 40조원, 수출 규모를 18억달러 규모로 키우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2021년 산업 규모가 28조원, 수출 규모가 9억2000만달러였던 것과 비교하면 산업 규모는 연 평균 6.1%, 수출은 연 평균 11.9% 확대돼야 한다. 에미상과 아카데미상 등 주요 시상식에서 상을 받는 이른바 '킬러 콘텐츠'를 향후 5년 동안 다섯 편 창출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문체부는 이를 위해 내년 6000억원 규모, 2024∼2028년 총 1조원 규모의 'K콘텐츠 전략펀드'를 새로 조성해 킬러 콘텐츠와 지식재산(IP)에 투자하기로 했다. 기존의 모태펀드(문화계정)는 중소기업 중심으로 투자해 대규모 프로젝트에 투자하기 어려운 만큼 새로운 투자금을 마련하는 취지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통신사, 포털, 게임사 등의 투자를 유치할 방침이다.

내년부터 영상 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율이 중소기업 기준 최대 30%까지 대폭 상향될 예정인데, 문체부는 콘텐츠 기획 비용까지 세액공제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청이 보편화된 된 만큼 구독료를 소득공제 대상에 넣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또 영화 산업의 미개봉 작품 적체를 해소하기 위해 '개봉 촉진 펀드'를 조성하고, 영화가 극장에서 OTT로 넘어가기까지의 기간(홀드백)을 미리 정해 준수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콘텐츠 창작자·제작자가 IP를 확보하지 못하고 OTT가 모든 권리를 가져가는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도 발표했다. 문체부는 성공한 IP를 활용하는 데 지원을 늘려 국내 제작사가 OTT로부터 100% 제작비를 지원받고 IP를 넘기는 안전한 선택 대신 IP를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중소 제작사를 지원하기 위해 서울 상암 디지털매직스페이스(DMS)에 상설 공간을 마련해 사업 모델 공유, 계약 컨설팅 등을 제공하는 거점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제작사의 IP 확보를 조건으로 투자하는 특화펀드도 조성한다.

Photo Image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4일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취임 후 첫 번째 정책으로 '영상산업 도약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유 장관은 “영상콘텐츠 산업의 체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이번 정책을 준비했다”며 “영상콘텐츠가 우리 콘텐츠 산업을 이끈느 핵심 축인 만큼 정책을 내실있게 추진해 확실한 성과를 거두겠다.”고 밝혔다.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영상 창작자가 합리적인 보상을 받도록 제작사, 플랫폼 등과 대화할 수 있는 장도 마련할 방침이다. 또 콘텐츠 불법 유통 웹사이트 수사를 위해 외국 수사기관과 공조 체계를 구축하고 처벌을 강화해 저작권 보호를 강화한다.

유 장관은 “영상 콘텐츠 산업의 체계 변화에 대응하려 이번 정책을 준비했다”며 “우리 콘텐츠 산업을 이끄는 핵심 축이 영상 콘텐츠인 만큼 준비한 정책을 내실 있게 추진해 성과를 거두겠다”고 말했다.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