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소멸, 디지털 혁신이 답]〈1〉이재영 한국지역정보개발원장 “디지털 혁신, 인식 전환부터”

Photo Image
이재영 한국지역정보개발원(KLID) 원장.

“지역이 디지털 혁신을 하기 위해서는 인식부터 전환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아날로그 사고를 디지털 사고로 전환하고 아날로그 사회간접자본(SOC)이 아닌, 디지털 SOC 사업을 강화해야 합니다.”

이재영 한국지역정보개발원(KLID) 원장은 지역 소멸과 저출산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 디지털 혁신이 시급하고, 이를 위한 사회 인식 전환이 급선무라고 진단했다.

그는 “지금까지 국가와 지자체가 추진해 온 사업은 '인구 증가'를 전제했다”면서 “하지만 이제는 '인구 감소'로 전제를 바꿔야한다”고 짚었다.

이 원장은 인식 전환이 필요한 부문으로 크게 △SOC △유동 인구를 꼽았다.

그는 인구 감소 상황에서 지방이 발전하려면 디지털 SOC 보강을 늦춰서는 안된다고 진단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SOC는 도로, 교량, 산업단지 등 인구를 기반으로 하지만, 앞으로는 운영·유지가 힘든 만큼 디지털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SOC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에 노인만 남는다고 가정하면 산업단지를 지어봤자 고용도 안되는데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면서 “대신에 각 SOC에 사물인터넷(IoT)을 결합시켜 화재를 감시하거나 노인의 행동량 등을 파악해 케어하는 디지털 SOC를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자체가 지방소멸대응 기금을 디지털 SOC 확충에 투입할 필요가 있다는 구체 조언도 내놨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22년부터 지역소멸 문제 해결을 위해 지방소멸대응 기금을 매년 1조원씩 10년 동안 지급키로 했다.

이 원장은 “아날로그 SOC는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지자체장은 그동안 표를 얻기 위해 토목 사업을 집중 추진했다”면서 “지자체장이나 군수 등은 하향식 의사결정 구조에서 벗어나 지역 주민이 진정 원하는 것과 디지털 해결법을 우선 적용한 상향식으로 디지털 SOC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유동 인구 파악을 통한 디지털 혁신을 주문했다. 지역 인구가 감소하는데, 고정 인구를 기준으로 자원을 배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관광객(방문객)을 디지털 기술로 계량화해 고정인구와 유동 인구를 합쳐 자원을 배분해야한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특정 지역을 예로 들어 고정 인구가 굳이 5만명일 필요가 없다”면서 “고정 인구 1만명을 기준으로 나머지 4만명은 유동 인구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표적인 것이 지역 축제인데, 유동 인구가 늘어난 소위 대박난 곳에 자원을 집중 배분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해야 한다”면서 “지금까지는 (자원배분을 위한) 증명할 방법이 없었지만, 이제는 점수를 매길 수 있는 만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정부와 국회, 지자체 등이 천편일률적인 인식의 틀을 깨야한다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아날로그 시대에는 법과 제도가 있어야 정보화시스템이 구축됐기 때문에 다양성이 없다”면서 “디지털 시대에는 마이크로서비스시스템을 기반으로 각자 지역에 맞는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정보화가 법과 제도를 끌고 가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법과 제도를 만들어서 한꺼번에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것은 지금과 같이 빠른 시대에는 맞지 않다”면서 “우선순위를 바꾸고, 지역 디지털화에 속도를 높여야한다”고 강조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