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경제장관회의] 펫테크·펫헬스케어, 국가전략산업으로 키운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반려동물을 위한 로보틱스 장난감, 경구형 IoT 바이오캡슐 등 '반려동물 연관산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한다. 기능성 펫푸드와 맞춤형 의료기기와 같은 단기 프로젝트부터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줄기세포, 바이오소재 등의 분야에도 중점 투자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9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대책'을 발표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는 2012년 364만가구(556만마리)에서 2022년 602만 가구로 10년 사이 65%가 늘었다. 동물 지위도 상승돼 신성장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시장 규모는 2022년 8조 원 규모로 세계시장 대비 1.6% 수준으로 추정되지만 반려동물에 적합한 제도와 인프라 등 정책적 지원이 전반적으로 부족하다.

Photo Image
반려동물 연관산업 비전 및 전략

정부는 신산업 위주로 반려동물 연관산업을 육성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4대 주력산업 육성 △성장 인프라 구축 △해외 수출산업화 등 3대 추진 전략을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가 중점을 둘 4대 주력산업은 △펫테크 △펫헬스케어 △펫푸드 △펫 서비스다.

정부는 펫테크 기업 지원을 위해 반려동물 등록 데이터를 공유한다. 질병예방, 생체·감정인식 등 인공지능(AI) 고도화를 위해 학습용 데이터 구축도 확대한다. AI, 바이오(BT) 등 첨단기술이 접목된 펫테크를 농식품 첨단기술 분야를 지정해 육성한다. 농식품 첨단기술은 그린바이오와 스마트농업에만 한정되어 있었지만 이번에 확대한다. 제품 사업화나 시제품 개발 등을 위해 내년부터 기업당 2억 8000만원을 지원한다.

펫헬스케어도 주목받는 산업이다. 동물병원 의료 서비스 수요는 급증하고 있지만 의료비 부담이 커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100여개 동물의료 항목 부가세 면세를 확대하는 한편 신약 효능·안전성과 임상을 지원하는 거점시설도 구축한다. 펫보험도 활성화한다.

가축용 사료와 구분되는 별도의 펫푸드 분류체계를 마련하고 반려동물 영양 가이드라인도 마련한다. 신제품 개발을 위한 원료 발굴과 연구에도 나선다. 행동지도사 국가자격제 신설 등 펫서비스 인력 확충도 지원한다.

정부는 4대 주력산업 육성을 위한 반려동물 실증 종합인프라 '원 웰페어 밸리' 조성에 나선다. 해외에서는 반려동물 기호 등을 실증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우리 기업들의 인프라 수요가 매우 높다. 실증 인프라를 매개로 보호·복지 시설, 산업시설, 연구교육시설 등 민간 투자도 유치할 방침이다.

펫테크와 펫헬스케어 분야는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한다. 기능성 펫푸드 등 16개 과제 연구개발을 2026년까지 314억원을 투입해 지원한다. 부가가치가 높고 원천기술 확보에 장기간이 소요되는 분야는 내년까지 예비타당성조사 필요과제를 발굴해 추진한다. 시스템 생물학, 줄기세포, 질병완화, 바이오소재 등이 중장기 연구개발 과제가 될 전망이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반려동물 연관산업은 선진국형 산업으로 우리나라는 초기 발전 단계라고 볼 수 있으며, 펫휴머니제이션, 기술혁신 등 급변하는 시장과 국내 및 해외 반려인의 눈높이에 맞춰 펫푸드를 포함한 연관산업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Photo Image

문보경 기자 okm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