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생성형 AI 주도권 경쟁

Photo Image
류태웅 ICT융합부 기자.

“국가 차원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분야에 더욱 많은 투자를 해야한다.”

한 소프트웨어(SW) 기업 관계자는 파이가 커지는 생성형 AI 시장에서 정부 역할을 이 같이 강조했다. 생성형 AI 활용 분야가 전 산업계로 확대되고 있어 더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생성형 AI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등 기존 콘텐츠를 활용해 유사 콘텐츠를 새롭게 생성하는 알고리즘이다. 오픈AI가 출시한 AI 챗봇 '챗GPT'가 대표적이다.

생성 AI 시장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국가 간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는 생성 AI 시장 주도권을 오픈AI에 뺏긴 이후 각각 바드, 빙챗 서비스를 개시, 맞불을 놨다.

MS는 빙챗을 웹과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 타사 브라우저에서도 사용토록 하겠다고 발표했다. 자사 브라우저인 엣지뿐만 아니라 구글 크롬과 애플 사파리에서도 이용토록 하겠다는 것이다.

한 IT 업계 관계자는 “세계 브라우저 시장은 구글 크롬이 장악하고 있지 않느냐”면서 “MS가 크롬까지 AI 챗봇 영토를 확대하는 것은 구글과 정면 대결을 펼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생셩 AI 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하는 것은 그만큼 성장 잠재력이 크기 때문이다. 의료, 교육, 보안 등 활용 분야가 무궁무진한 만큼 시장을 선점한다면 큰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렸다.

국가 간 경쟁도 불이 붙었다. 미국과 첨단 기술 패권을 두고 경쟁 중인 중국이 대표적이다. 독자 AI 기술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선전시는 1000억위안(약 18조원) 규모 AI 펀드를 설립했다. AI 핵심 기술과 혁신 제품을 지원한다. 바이두와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 대표 IT 기업은 잇달아 생성 AI 서비스를 출시, 고도화하고 있다.

일본도 마찬가지다. 'AI 백서'를 통해 새로운 AI 국가 전략을 다각도 전개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다양한 시범 사업과 도입 사례 발굴을 추진한다.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아직까지 세계 수준 생성 A를 위한 국가 전략이 잘 눈에 띄지 않는다.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AI 생태계 육성을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정부는 산학연관이 생성 AI 연구개발에 적극 협력해 핵심 서비스와 기술을 창출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 도와야한다. 민간만 알아서 하도록 해서는 수준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기 어렵다.

'모든 것은 때가 있다'고 한다. 지금 이 때를 놓치면 천문학적 AI 미래 시장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지금이라도 새 전략이 필요하다.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