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는 지난 한 해 동안의 다양한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ESG 관련 정보를 담은 '2023년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현대차는 전반적인 재무와 비재무 정보에 관하여, 투자자와 고객을 비롯한 여러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위해 2003년 이후 매년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내고 있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보고서 인사말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장기적인 시각으로 기업의 근본적인 체질을 바꾸어 나갈 것”이라며 “외부의 기대 수준에 부응하기 위해 ESG 경영 내재화에 더 힘쓰겠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기업 생존과 지속가능성의 키워드로 떠오른 ESG경영을 강조하고, 이용자의 가독성을 제고하기 위해 보고서 본문을 크게 △환경 △사회 △지배구조로 나누어 구성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7/13/news-p.v1.20230713.8ef972f152be47ecadce02135a0877c4_P1.jpg)
환경 분야에서는 2045년 탄소중립 달성과 전동화 전환을 위한 구체적인 중장기 전략과 기후변화 재무정보 공개 테스크포스(TCFD) 플레임워크에 따른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정보를 다루고 있다.
사회 분야에서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인권 리스크에 대한 실사와 개선 의지를 다루는 인권경영, 공급망 ESG 관리를 위한 노력,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활동들을 다루고 있다.
지배구조 분야에서는 이사회의 구성과 운영 등 투명하고 건전한 지배구조 구축을 위한 노력과 윤리·준법경영과 관련한 제도와 관리 활동을 담았다.
이번 보고서에는 유럽 지속가능성 공시 지침(CSRD) 등 ESG 정보공시 규제와 관련된 이중 중대성 평가 결과와 유럽 지속가능성 보고 공시 표준(ESRS) 가이드라인도 넣었다.
로보탁스, AAM 등 현대차의 여러 신사업과 미래 모빌리티 비전 관련 내용은 별도의 매거진 섹션으로 구성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기업의 ESG 정보공시가 점차 중요해져 이해관계자와 진정성 있는 소통을 위해 내실 있는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에 중점을 뒀다”며 “앞으로도 관련 규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대응 역량을 향상시키겠다”고 말했다.
김신영 기자 spicyzer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