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규모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가 머그 컵 두 개를 주문한다. 쇼핑몰의 역할은 여기서 끝. 주문을 받아 창고에 있는 상품을 찾아 포장하고 택배까지 보내는 것은 풀필먼트 회사 ‘파스토’가 한다. 세부적인 일을 하는 것은 로봇이 반, 사람이 반. 용인에 있는 파스토의 물류센터와 쇼핑몰의 API가 연동돼 주문이 나오는 즉시 시스템이 작동을 한다. 머그컵 주문을 입력받은 AMR(자동물류로봇) 해당 물품이 있는 창고 위치로 이동한다. 인근에 있던 직원이 선반 꼭대기에 있는 머그컵을 내려 바코드를 찍고 로봇의 트레이 바코드까지 찍어 실어 보내면 로봇은 센터 끝에 있는 컨베이어까지 실어 나른다. 컨베이어를 타고 온 머그컵은 마지막으로 사람이 상품 검수까지 마치고 포장해 택배로 향한다. 로봇 40대가 하루에 처리하는 제품은 1만~1만 5000개. 발빠르게 움직이는 것은 로봇. 사람은 주요 거점에서 해당 주문서에 맞는 상품을 로봇에 싣고 바코드를 찍거나, 검수한다.
용인시 처인구에 자리한 파스토의 풀필먼트(주문·배송) 센터 두 곳은 국내 첫 스마트 물류센터 인증을 받은 곳이다. 2021년 처음 제도를 도입할 때 중소기업임에도 1등급을 받아 화제가 됐다.

소비자들에게는 생소한 풀필먼트센터는 주문자가 고객에 택배를 보내기까지 해야 할 모든 물류과정을 진행하는 곳이다. 중소기업 파스토는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에 입점한 소상공인과 같은 중소규모 판매자들의 풀필먼트를 대행해주는 곳이다. 판매자가 주문을 받으면 그때부터 택배사가 제품 배송을 위해 수거하는 순간까지 모든 과정을 대행한다. 심지어 반품까지 처리한다. 택배 비용 1900원에 출고패키지 요금 1650원으로 건당 3550원이면 고객에게 제품이 간다. 판매자가 직접 포장해 택배를 보내는 비용은 3840원. 창고비나 인건비를 고려하지 않아도 풀필먼트 대행이 저렴하다.

이러한 풀필먼트 기업이 있기 때문에 온라인 판매자는 상품 기획과 고객 대응에만 집중할 수 있다.
신현철 파스토CFO는 “ 온라인 판매자의 99%가 주문확인, 출고, 배송 등으로 업무 절반을 할애한다고 한다”면서 “풀필먼트가 중요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어 “자동화를 하면 기본적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것 외에 정확성을 높이고 물량 변동폭이 큰데 대응할 수 있다”면서 “외국인이 오거나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 온다고 해도 자동화 시스템 덕에 효율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소개했다.
국토교통부는 물류센터를 초고속 화물 처리가 가능한 첨단센터로 전환하기 위해 스마트 물류센터 인증제를 2021년부터 도입했다. 센터 건축 전 설계도 등으로 인증하는 예비인증과, 준공 이후의 본 인증을 운영하고 있으며, 인증을 받은 센터는 2~0.5%p 대출이자 지원을 받는다. 현재 33개소가 인증을 받았다. 인증을 받은 기업들은 매년 수천억원의 대출을 받아 이자 혜택을 보고 있다.
강주엽 국토교통부 물류정책관은 “그간 물류산업이 3D 업종이라는 이미지가 있었다”면서 “스마트 물류를 통해 자동차나 반도체뿐 아니라 물류가 우리 미래의 먹거리고 신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자 한다”고 말했다.
문보경 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