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메르세데스 벤츠가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와 손잡고 자동차 혁신에 나선다. 운전석부터 보조석까지 대시보드 전체를 화면으로 채우는 ‘필러 투 필러 디스플레이’ 탑재를 추진한다. 디자인 변형이 자유로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통해 완전히 새로운 사용자경험을 제공하려는 시도로, 세계 최고의 완성차 회사와 디스플레이 업체 간 협업이 시작됐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메르세데스 벤츠는 대시보드 전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채우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각종 운전 정보를 제공하는 운전석 계기판부터 오디오·히터 등 차량 내외부 기능을 제어하는 센터페시아, 보조석 수납공간 윗부분까지 아우르는 공간을 단일 디스플레이로 만드는 프로젝트다. 전면 유리 옆 기둥, 즉 왼쪽 필러부터 오른쪽 필러까지 하나로 이어졌다고 해 ‘필러 투 필러(Pillar-to-Pillar)’ 디스플레이로 불린다.
벤츠는 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와 협력을 논의 중이다. 벤츠가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는 좌우가 길고 곡선으로 휘어진 형태기 때문에 설계 및 디자인이 자유로운 OLED가 필수. 벤츠는 이에 OLED 분야에서 앞선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를 찾았다.
벤츠가 이 같은 디스플레이 탑재를 추진하는 건 처음이다. 또 OLED로 필러 투 필러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건 전 세계 완성차와 디스플레이 업계에서 유례 없던 시도다. 벤츠는 ‘하이퍼스크린’이라고 불리는 유사 제품을 자사 고급 전기차에 적용한 바 있다. 하지만 이는 디스플레이 3개를 연결한 것이다. 강화유리나 케이스로 이음새가 없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 벤츠는 보다 더 진화한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 단일 화면의 풀스크린으로 바꾸려는 계획으로 풀이된다.

벤츠는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와 상당 수준 논의를 진척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안에 밝은 복수의 업계 관계자는 “사양·기술성 평가는 지났으며 견적을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며 “최종 사업자 선정이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는 벤츠와의 협력 여부에 대해 “고객사 관련 내용은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는 벤츠에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납품하고 있는 협력사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아직 벤츠와 거래 관계가 없다.
최종 계약이 성사되면 자동차 및 운전 환경의 혁신은 물론 디스플레이 시장에도 상당한 변화를 몰고 올 전망이다. 그동안 자동차에는 액정표시장치(LCD)가 주로 사용됐는데, OLED 부상이 예상된다. OLED는 내구성 때문에 자동차 시장 진입에 제한이 있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발광층을 두 번 쌓는 탠덤 구조와 같은 기술발전으로 한계를 뛰어넘는 모습이다. 여기에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장점으로 부각되면서 본격적인 전장 시장 진입이 예상된다.

권동준 기자 djkwon@etnews.com, 김영호 기자 lloydmin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