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기차에 사용되는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개발(R&D) 예비타당성 조사에 나선다. 전고체 배터리 뿐만 아니라 리튬-황, 리튬금속 등 다양한 분야 전해질을 활용해 용도별 기술을 개발한다. 일반적으로 1년 이상 소요되는 예비타당성조사 심사를 단축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선정을 시도, 패스트트랙으로 연내 통과도 추진한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19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친환경 모빌리티용 고성능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개발 사업'에 대한 신규 예비타당성 조사를 받는다. 사업 규모는 1500억원 내외다.

이 사업은 산업부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이차전지 산업 혁신전략'에 따라 기획됐다. 2028년까지 전고체, 리튬-황, 리튬금속, 리튬이온 등 전해질 별로 게임체인저가 될 차세대 전지시장 초기 주도권 확보를 위해 초격차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구체적으로 전기차용, 전기선박용, 도심항공모빌리티(UAM)용 400Wh/㎏(킬로그램당 와트시)급 전지 제조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전고체 배터리와 리튬메탈 배터리는 전기차용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는 친환경 선박용 에너지저장장치(ESS)로, 리튬-황 배터리는 UAM용으로 테마를 잡았다. 각각 전해질에 대해 용도별로 △전극 △단전지 △배터리팩 등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골자다.

사업이 통과되면 개시시점은 이르면 내년이나 2025년이 될 전망이다. 평균적으로 예타 심사과정이 1년 넘게 걸리기 때문에, 산업부는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로 선정해 예타 패스트트랙을 통해 빠르게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패스트트랙을 타게 되면 내년부터 사업 추진이 가능해진다. 안되면 올해 예타를 시작해 내년 통과하더라도 2025년부터 사업을 시작하게 된다. 산업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관련 내용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는 지난해 정부가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 △첨단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AI)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등 12대 국가전략기술에 대해 10개 프로젝트를 선정해 민·관 합동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공동 투자하도록 한 프로젝트다.

담당부처가 신청하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가 추진 필요성 등을 검토해 선정한다. 과기정통부는 선정된 프로젝트에 대해 예타 패스트트랙을 활용해 R&D 예타기간을 단축하고 신속한 추진을 지원한다. 지난해 10월 양자와 차세대 원자력 분야가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를 선정한 바 있다. 올해 상반기 4개, 하반기 4개 프로젝트를 선정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차전지 분야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로 선정돼 패스트트랙으로 진행하면 예타 조사를 올해 내 마무리할 수 있다”면서 “선정되면 빠르게 진행되겠지만 (선정되지 않아) 일반적인 트랙으로 진행되면 내년까지 진행돼 늦어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김영호기자 lloydmin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