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세탁기·보일러 등
친환경 제품수 대폭 확대

지난해 출시된 에어컨, 세탁기, 건조기, 가스보일러 등 주요 가전의 친환경 제품이 전년에 비해 2~4배 이상 늘었다. 친환경 제품 비중도 사실상 사상 최대치에 달하는 등 가전 시장 녹색바람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25일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에어컨, 세탁기, 가스보일러, 건조기 등 주요 가전 품목의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 수가 전년 대비 대폭 늘었다.

지난해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전기냉방기(에어컨)는 총 154개로, 2021년(116개)과 비교해 32.7% 증가했다. 효율등급을 받은 전체 제품 중에서 1등급 비중 역시 2021년 20.8%에서 지난해 26.1%로 증가했다. 전반적인 친환경 냉매 등 연구개발(R&D) 노력과 2021년 10월 완화된 에어컨 에너지 소비효율 1등급 기준이 영향을 미쳤다.
가스보일러도 친환경 전환이 활발하다. 지난해 에너지효율 등급을 받은 전체 제품 중 1등급 제품은 86%인 247개로 나타났다. 2021년에는 1등급 제품은 103개에 불과했지만 1년 새 2배 이상 늘었다. 2020년 대기관리권역법 시행으로 친환경 콘덴싱 보일러 보급이 확산하면서 1등급 제품이 크게 증가했다. 현재 콘덴싱 보일러는 모두 에너지 소비효율 1등급 제품이다.
이밖에 전기냉난방기(40개, 29%↑), 상업용 전기냉장고 (62개, 40.9%↑), 전기세탁기(21개, 133%↑) 등도 전년 대비 1등급 제품이 늘면서 가전 시장 전반의 녹색 바람을 이어갔다.

올해 역시 에너지 고효율 가전은 지속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탄소중립 등 친환경 노력에 집중되면서 관련 R&D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소비자의 구매 가치관도 제품 본연의 기능을 넘어 제조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까지 살피는 추세다.
실제 삼성전자, LG전자는 수년간 냉매나 모터 등 주요 부품 고도화로 에너지 효율을 높여 왔다. 최근에는 소프트웨어(SW)에 대대적으로 투자해 세탁기, 에어컨, 냉장고 등 주요 가전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인공지능(AI) 기술까지 구현했다. 기후변화 등 글로벌 현안을 함께 고민하는 동시에 소비 가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LG전자 관계자는 “소비자의 높아진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본연 성능 외에 에너지 효율 등 새로운 가치를 전달해야 한다”면서 “고객 만족과 함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친환경 가전은 지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철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