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해 나갈 경우, 최대 86만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로버트 폴린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 정치경제연구소(PERI) 소장은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진행한 '에너지 대전환과 일자리' 포럼에서 “한국은 오는 2050년까지 화석연료를 단계적으로 퇴출하기로 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폴린 소장은 세계적 경제학자 가운데 한 명이다.
폴린 소장은 정부가 추진 중인 탄소중립 과정에서 일자리 창출 효과는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한국이 에너지원으로 의존하고 있는 화석연료 수입을 중단하고 국내에서 생산한 에너지, 주로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로 대체하는 것이 고용 창출의 주요 원천이 될 것”이라면서 “경제학에서 말하는 '수입대체' 효과가 극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에너지 효율과 재생에너지 사업 연간 투자 규모 추정치는 오는 2030년까지 78조원”이라면서 “여기에 조림 사업 등 효과를 더할 경우 전체적으로 한국에서는 총 81만~86만개 일자리가 창출되고, 노동 인구 대비 약 3%에 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폴린 소장은 재생에너지가 1㎾h 전기를 생산하는 비용이 화석연료와 비슷하거나 저렴하다고 강조했다. 경제성이 크다는 것이다. 그는 “G20 국가의 화석연료 에너지 생산 비용은 지난 2020년 ㎾h당 65~175원 사이였던 반면 태양광과 육상풍력, 해상풍력은 각각 67원, 46원, 99원이었다”면서 “해상풍력 마저도 화석연료에 비해 낮은 비용”이라고 말했다.
공동 발제자로 나선 홍종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는 비슷한 이유로 정부에 적극적 에너지 전환을 촉구했다. 그는 '2050년 탄소중립' 추진 과정에서 오는 2030년까지 사회적 편익이 최대 228조원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홍 교수는 “정부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전환에 소극적일 경우, 탈탄소 무역장벽 하에서 산업 경쟁력은 약화할 것”이라면서 “궁극적으로는 산업공동화와 일자리 위기로 비화될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는 정규창 한화솔루션 큐셀부문 파트장과 송민욱 H에너지 사업전략본부 O2O 팀장 등이 참석했다. 정규창 파트장은 “미국은 2021년 기준 전력산업에 종사하는 고용인 기준 약 39%가 태양광 부문”이라면서 “특히 태양광 발전소 건설에 직접 관여하는 고용인이 50% 이상에 달하는 등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류태웅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