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칼럼]쌍용차 정상화, 노사 각고의 노력 필요

Photo Image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

쌍용자동차 새 주인으로 KG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다. 이어 KG컨소시엄을 주도하는 KG그룹 곽재선 회장은 최근 쌍용차 신차 '토레스' 출시 행사에 참석해 인수합병(M&A)을 위한 자금조달과 관계인집회에서의 채권단 동의를 받는데 “문제 없다”며 강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며 노사상생 의지도 되비쳤다.

계획대로라면 쌍용차는 7월 말 이전 회생계획안을 서울회생법원에 제출하고 8월 말 또는 9월 초 관계인집회를 열고 동의를 받아 회생절차를 마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협상이 급물살을 탄 배경으로 신차 토레스의 폭발적인 인기도 한몫을 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사전계약 대수는 지난 5일 차량 출시 전 3만대를 넘어 쌍용차가 당초 계획한 올해 하반기 목표치 1만6800대를 웃돌았다. 내년에는 토레스 전기차, 2024년 상반기에는 코란도 후속 모델 'KR10' 전기차, 같은 해 하반기에는 전기 픽업트럭 등이 출시될 예정이다. 문제는 이후 연구개발(R&D)이 확정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신규 투자 기반으로 이를 이어갈 차량 개발이 필요하다. 쌍용차는 SUV 명가라는 타이틀을 전동화 모델에서 다시 재연할 필요가 있다.

중요한 건 인수예정자의 자금력이다. 신차를 개발하는데 3~4년이 소요되고 평균 3500억원이 필요하다는 것이 자동차 업계 상식이다. 쌍용차는 매년 신모델을 발표해야 하며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동화 전용 플랫폼도 개발해야 한다. 현재 상환이 필요한 부채와 회사 운영자금 등을 고려해 보면 인수대금 수천억원이 문제가 아니다. 2조~3조원 정도 지속 투입돼야 정상화를 기대할 수 있다. 다행히 KG컨소시엄은 그 정도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노사관계 정립도 중요하다. 좋은 예로 르노의 바야돌리드 공장이다.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고 노동자 2000~3000명이 일자리를 잃게 되자 시민까지 합세해 격렬하게 시위했다. 르노는 생산 경쟁력 확보를 조건으로 신차 생산배정을 보장했고 2개월 만에 대타협이 이뤄졌다. 노동조합은 4년간 임금 동결과 고용 유연성을 받아들였고 2013년 이후 1교대 근무를 2교대로 전환했다. 신규 채용도 이뤄졌다. 2013년까지 4년간 유지하기로 한 임금 동결을 2016년까지 4년 더 연장하고 임금에 물가상승률을 조금 반영해 보너스 등을 일절 지급하지 않는 조건으로 노력했다. 바야돌리드 공장은 세계 150여개 자동차 생산 공장 중에서 생산성 최상위에 올랐다.

필자는 쌍용차가 정상화되려면 40% 가까운 구조조정이 필수라고 여러 차례 주장해왔다. 그런데 쌍용차 노사는 그동안 강성 이미지에 맞지 않는 결정을 내렸다. 지난해 6월 2009년의 아픔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고용은 유지하면서 비용을 줄이는 합리적 방안을 찬반투표를 통해 가결시켰다. 유연성 있는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무급휴업을 받아들였으며 라인 간 전환배치를 실시해 생산 효율성을 4% 증대시켰다. 필자가 주장해 온 구조조정에 대해서는 자연감소 인원에 대한 추가 고용 없이 고통을 나누기로 합의가 진행 중이다. 자연감소 인원은 2009년 이후 연평균 100~150명이고, 이후 2025년까지는 약 170명, 2026년부터는 매년 200~300명이 넘는다. 산술적으로 따지면 약 5년 후에는 1000명 이상 인원이 퇴직한다. 전체 인원의 20% 수준이다. 불안한 수치다.

쌍용차의 경우 협력사 및 직간접 인원을 포함하면 60만명 정도가 영향권에 들어 있다는 자료도 있다. 가계 및 지역경제를 넘어서 자동차산업 전반에 끼치는 영양이 지대하다고 볼 수 있다. 이번이 마지막 기회가 될 수 있다. 정부는 쌍용차 사태를 1년 이상 끌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내년으로 넘어가는 순간 총선이 1년 남게 되고 대규모 일자리 유지라는 덫에 걸려 지난 정권처럼 결단 못 내리고 방황할 위험성이 존재한다. 결국 올해 인수자를 통한 정상화 혹은 파산,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절체절명의 순간 가장 중요한 것은 당사자들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지금까지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쳤고 많은 희생을 감수했다. 앞으로도 노사화합과 협력을 통한 생산성 증대 및 경영정상화를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하겠다는 의지를 국민이 믿도록 해야 한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 leehg3132@nate.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