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귀금속 촉매 없이 차세대 에너지 소재 합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촉매 없이 차세대 에너지 소재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홍성유, 얀 로데 교수 연구팀은 라디칼(Radical) 연쇄 반응으로 질소 함유 나노 그래핀 조각을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정밀 화합물, 차세대 고분자·에너지 소재로 주목받는 물질이다. 물질은 분자 수준에서 조립해 나가는 정밀 합성법은 고가의 금속 촉매와 다단계 화학 반응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Photo Image
앞줄 왼쪽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얀 로데 교수, 제1저자 이재빈 박사, 홍성유 교수, 김건하 연구원, 전지환 연구원, 정서영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이 개발한 합성법은 라디칼이 촉매 역할을 대신해 고가의 희귀 금속 촉매를 쓰지 않아도 된다. 라디칼은 홀전자(unpaired electron)를 갖는 물질의 총칭으로, 홀전자의 짝을 이루려는 성질 때문에 반응성이 뛰어나 촉매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또 기존에는 촉매 효율을 높이기 위해 탄소 고리에 화학 작용기를 붙이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했는데, 이 같은 전처리도 필요 없다.

연구팀은 이 합성법으로 아진 계열 분자(탄소 고리에 질소가 끼어 있는 분자)와 디아릴요오드늄염을 화학적으로 조립해 질소 함유 나노 그래핀 조각을 합성해냈다. 라디칼 홀전자의 존재를 직접 관측할 수 있는 분광기법 분석을 통해 정확한 합성 과정도 규명했다.

홍성유 교수는 “낮은 반응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아진 전구체를 귀금속(팔라듐) 촉매를 이용하지 않고도 라디칼 반응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활용한 사례”라며 “새로운 화학 합성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다학제 분야 전문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공개됐으며 한국연구재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