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맞춤형 '보안' 모델 나온다…공동주택 보안 시범사업 추진

Photo Image

월패드 해킹으로 보안 허점을 드러낸 공동주택에 최신 보안 솔루션과 서비스를 적용하는 시범사업이 시작된다. 단지 특성에 맞는 다양한 보안 모델을 개발·적용하고, 효과와 가구 부담 등을 살펴본다. 아파트 보안 취약점 해소는 물론 새로운 보안 시장 개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르면 3분기에 공동주택 네트워크 보안 개선 시범사업에 착수한다고 19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공동주택 단지 네트워크 특성에 맞는 보안 솔루션·서비스를 발굴하고 일부 단지를 선정, 이를 적용할 계획이다.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보안협의회가 현재 과기정통부 등 3개 부처가 공동 실시하는 '공동주택 지능형 홈네트워크 필수설비 구축 여부·보안관리 실태조사'에 참여, 공동주택 보안 현황과 적용 솔루션 등을 파악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보안협의회 실사가 종료되는 이달 말부터 공동주택 맞춤형 보안 솔루션·서비스 도출에 착수한다. 이어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주택단지와 협의해 이르면 9월부터 공동주택에 실제 적용, 검증할 계획이다. 이어 보안 개선 효과와 가구별 비용 부담 수준 등을 검증해 일종의 공동주택 보안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국 확산에 나선다.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제도 등 기존 제도와의 연계도 모색한다.

사업엔 중소기업 보안 솔루션·컨설팅 지원사업의 예산 일부가 투입된다. 향후 확산 단계에선 지자체 등과 협의해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시범사업 대상 단지와 규모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공동주택 서버에 에이전트를 설치하고 관리하거나 보안 신기술을 직접 적용하는 등 방안들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서 “사업 형태도 보안 기업과 공동주택 간 컨소시엄 구성 등 다양한 형태를 놓고 논의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공동주택은 사실상 보안 사각지대다. 최근 신축 단지 중심으로 사생활 보호와 범죄예방을 목적으로 해킹방지·보안시스템을 적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여전히 다수 단지는 보안이 취약하다. 방화벽 등 보안 제품을 설치해도 하자보수 기간 종료 이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거나 별다른 보안 솔루션을 적용하지 않은 사례도 있다.

과기정통부는 공동주택 시범사업을 통해 공동주택 보안 수준 제고는 물론 보안 시장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검증받은 보안 기업의 다양한 제품이 공동주택에 적용될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정삼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 정책관은 “수요자 비용 부담, 보안 수준 등을 전부 고려해 합리적 보안 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확산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도 지원방안 등을 협의해 나갈 것”이라면서 “공동주택 보안이 수요자와 기술 중심으로 개선되고, 나아가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