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 국내 첫 부산물 기반 이산화탄소 자원화 플랜트 구축

Photo Image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네오그린이 울산 하수슬러지처리시설에 구축한 고순도 탄산칼슘 생산 플랜트.

울산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에 이산화탄소와 산업 부산물을 원료로 탄산칼슘을 생산하는 시설이 구축됐다.

울산시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울산본부는 '이산화탄소와 슬래그 기반 탄산칼슘 생산 플랜트' 구축을 완료하고, 현재 탄산칼슘 생산과 생산 탄산칼슘 제품화 실증을 진행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탄산칼슘 생산 플랜트'는 울산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 핵심 인프라다. 제철 부산물인 슬래그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탄산칼슘을 만드는 이산화탄소 자원화 설비다. 탄산칼슘은 토목이나 건설, 화학,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 화합물로 사용한다.

생기원 울산본부는 네오그린, 고등기술연구원과 협력해 울산 하수슬러지와 폐기물 소각시설 두 곳에 플랜트를 구축하고 하루 20톤 규모의 고순도 및 저순도 탄산칼슘을 생산하고 있다. 생산 탄산칼슘을 재료로 활용한 제품 실증과 실증 제품의 현장 적용 실증 테스트도 시작했다.

고순도 탄산칼슘은 특수제지, 이산화티타늄 복합섬유, 고무, 합성수지 등에 활용하고, 저순도 탄산칼슘은 도로포장용 콘크리트, 테트라 포드, 인공골재, 경량블록이나 천장재 등으로 제품화해 현장 실증을 진행한다.

실증 결과를 분석해 사업화 및 현장 상용화를 위한 시험분석, 친환경·녹색 등 제품인증까지 추진한다.

Photo Image
철강 슬래그에 이산화탄소를 융합해 만든 고순도 탄산칼슘.

울산은 광역지자체 가운데 제조업 면적당 이산화탄소 배출량 1위,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 1위다. 2019년 기준 전국 탄소배출권 할당제 대상기업 607개(배출량 5억700만톤) 가운데 울산 기업은 77개(배출량 1억1300만톤)로 22.3%를 차지하고 있다.

동시에 이산화탄소 포집·자원화 기술 수준도 높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UNIST 등 연구기관과 대학, 전문기업이 이산화탄소 관련 기술을 꾸준히 연구개발하고 축적해왔다.

하지만 각종 규제에 막혀 개발 기술을 사업화하기 어려웠다. 포집 이산화탄소, 슬래그를 비롯한 부산물, 이를 이용해 만든 탄산칼슘까지 모두 폐기물로 규정돼 있어 허가받은 폐기물 재활용 사업자만이 시설 구축과 생산, 공급 활용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울산시가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를 신청하고 지정된 배경이다.

송호준 생기원 울산본부 온실가스저감융합기술센터장은 “울산에 구축한 탄산칼슘 생산 플랜트는 기존 실험실 및 파일럿 설비 수준을 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산업 현장에 고순도 탄산칼슘을 공급해 완제품까지 바로 만들 수 있는 국내 최고 수준의 이산화탄소 자원화 시설”이라며 “이산화탄소 단순 감축 차원을 넘어 이산화탄소를 자원으로 재활용한다는 점에서 탄소중립 실현에 가속도를 붙일 수 있는 기술이자 인프라”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출범한 울산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는 이산화탄소를 자원으로 상용 제품을 개발하고 실증해 사업화로 연계하는, 온실가스 사업화 생태계 조성이 목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을 총괄 주관기관으로 이산화탄소 포집·자원화 기업과 탄산칼슘 활용 제품화 기업,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을 비롯한 시험인증기관, 울산시와 고등기술연구원 등 17개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