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제주도와 함께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추진한다. 제주도가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을 수립한 가운데 산업부는 기본계획을 원활하게 이행하기 위한 방안을 지원한다. 제주도의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어를 해소해 분산에너지를 확대하고 시장·제도 등 전력 신산업 기반을 구축한다.
산업부와 제주도는 12일 제주시 구좌읍 CFI에너지 미래관에서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제주도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을 집대성했다.
기본계획은 산업부가 추진하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을 제주도 현실에 맞게 발전·계승했다. 구체적으로 △분산에너지 친화형 인프라 구축 △분산에너지 기반 전력 신산업 육성 △재생에너지 주민 수용성 개선을 위한 대책을 담았다.
분산에너지는 중소 규모 태양광·풍력·연료전지 등 전력이 사용되는 지역 인근에서 생산하고 소비되는 청정에너지를 말한다. 대규모 발전소와 송전선로 건설 관련 사회적 갈등 증가로 에너지 소비지역 인근에서 생산되는 분산에너지도 주목받고 있다.
산업부는 2019년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2020년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2021년 '에너지 탄소중립 혁신전략'에서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제주도는 분산에너지 친화형 인프라 구축을 위해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하고 그린수소(P2G), 열에너지 활용(P2H) 등 섹터커플링 기술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분산에너지 기반 전력 신산업 육성을 위해 통합발전소(VPP), 플러스 수요관리(DR) 확산 모델을 발굴하고 지역 특성을 가미한 마이크로 그리드를 구축한다. 또 재생에너지 주민 수용성·인식 개선을 위해 추진협의체·포럼을 운영하고 도내 전문 에너지연구소 설치도 검토한다.
박기영 산업부 제2차관은 “이번 계획은 중앙정부가 제시한 정책 방향을 지역 고민을 담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면서 “중앙과 지방, 그리고 관련 전문가의 긴밀한 협업을 토대로 분산에너지의 원활한 확산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구만섭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권한대행은 “정부와 함께 고민하며 수립한 이번 추진계획을 이행하며 출력제어를 해소하겠다”면서 “신재생에너지와 분산에너지를 확대하는 모델을 제주에서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