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인프라 개선으로 호남권 성장잠재력 높여야"

호남권 성장 잠재력이 6개 권역 중 4위로 나타났다. 과거에 비해 다소 개선됐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7일 지역별 경제현안을 점검하고 대응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광주·전남·전북지역을 대상으로 '제2파 지역경제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에서 발표된 6개 권역 성장잠재력지수(RGPI)에 따르면 호남권이 2015년 최하위인 6위에서 2020년 4위로 올라섰지만 전국 평균에는 못 미쳤다.

성장잠재력지수는 지역 내 인적자본, 산업구조 등을 토대로 성장역량을 수치화한 것이다. 지수가 1을 넘으면 전국 평균 이상의 성장역량을 가진 것을 의미한다. 호남권 지수는 2015년 0.86에서 2020년 0.95로 개선됐다. 여전히 1미만이라 성장 정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Photo Image
권역별 성장잠재력지수

대한상의가 분석한 지역내총생산(GRDP) 자료에 따르면 전체 GRDP에서 호남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9.6%에서 2020년 8.9%로 떨어졌다. 10년간 GRDP 기여도가 떨어진 지역은 호남권을 포함해 동남권과 대구·경북권 세곳이다. 남부지역 전체와 수도권·중부지역 격차가 더욱 커지고 있다.

대한상의와 공동으로 조사를 실시한 김영수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포럼에서 “호남은 자동차·석유화학·철강 등 대한민국 주력 산업 생산거점”이라며 “최근 주력산업이 성장 정체를 겪고 있고 호남권을 대표할 신산업 육성도 아직 구체적 성과를 못 내 성장잠재력이 위축된 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역 경제계는 정부 지원 부족을 지적했다. 작년 정부가 지출한 연구개발 투자액은 광주·전남·전북 지역에 18조원이다. 전체 227조원의 8.0%에 불과하다.

호남권 지역 산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 논의됐다.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 인공지능(AI), 신재생에너지, 바이오헬스 등이다. 오병기 광주전남연구원은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호남권 전략' 발표에서 초광역 단위 협업을 통한 지역 산업생태계를 구축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실제 광주광역시와 인근 5개 시·군이 참여하는 '빛고을 메가시티' 구상이 논의되고 있다.

최종만 광주상의 상근부회장은 “지역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예비타당성 평가방식을 개선해 대규모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호남권 경우 산업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지역경제도 위축돼 새로운 성장동력 키우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새 정부가 지역균형발전 의지를 밝힌 만큼 지역과 기업 의견을 수렴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정다은기자 dand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