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회 ICT논문 공모 대제전 대상으로 선정된 이덕호 학생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실용화 걸림돌을 참신한 방법으로 극복하고 상용화 가능성도 크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덕호 학생은 SLM(spatial light modulator) 기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가 갖는 불충분한 시야각(FOV)과 아이박스(eyebox) 크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 결이 맞는 다중 조사 광원 어레이를 포함하는 근안(near-eye)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혼색(crosstalk)이 없는 신호를 생성해 SLM에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기반 홀로그램(CGH) 최적화 알고리즘을 새롭게 개발했다. 제안된 CGH 최적화 알고리즘은 기준광 파면(wavefront)을 실제로 측정하고 이를 반영 실행돼 광수차, 시스템 정렬 오차 및 제조 오차도 어느 정도 허용해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을 보였다.
최우수상을 받은 김성연 학생은 새로운 심층 거리 학습 방법으로 연속 레이블을 최대한 활용하는 새로운 트리플렛(Triplet) 손실 함수와 트리플렛 마이닝 전략을 제안했다. 다양한 응용에서 기존 방법보다 높은 성능을 낼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논문 아이디어 및 논문 구성과 전개, 설명 방법, 실험 결과 분석 등이 우수한 논문으로 평가됐다.
김지원, 김형준, 김태주 학생은 다중 카메라(RGB, 열화상)를 사용해 센싱된 이미지에서 보행자를 검출할 때 두 카메라에서 같은 장면을 캡처한다는 가정하에 개발된 기존 방법 문제점을 분석했다. 실제 다중 카메라에서는 캡처된 장면이 같지 않을 때 해결 방법을 제안했다. 공학적 논문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우수상을 받은 장윤호 학생은 차세대 메모리 기반 시냅스 크로스바 어레이 기반 스토케스틱 멀티비트 회전 궤도 토크(SOT) 장치를 제안했다.
홍성혁 학생은 하이브리드 빔포밍(Hybrid beamforming) 구조를 사용하는 IRS-aided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제안, 제안한 방법 실험 결과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라경진 학생은 빅데이터와 아웃소싱 서버를 통한 사용자 중심 안정된 데이터 공유 환경에 대해 제시했다. 이는 데이터 주권과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점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기술로 많은 수요가 기대된다는 평이다.
이승훈 학생은 비지도 도메인 적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잠재 공간에서의 이미지 정보를 분리하고 시각적인 특징을 전달하는 신경망인 DRANet을 제안했다. DNN(Deep neural networks)이 사용되는 분야에 성능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인희기자 leeih@etnews.com
BRAND NEWSROOM
주요뉴스
-
전기차 충전기 보조금, 뇌물 '얼룩'
-
[단독] 공정위, '대한항공 일감 몰아주기' 제재...대법원 패소
-
SK그룹 "작년 사회적가치 18조4000억 창출"
-
"서부엔 50cm 폭설 내렸는데"…美 북동부 덮친 때이른 폭염
-
"스타링크 추적카메라가 포착한 지구의 위성, 달"
-
성명호 KIAPI 원장 “지역·기관·전문가 합심…미래차 전환 핵심 거점 도약”
-
삼성 '네오 QLED 8K' 체험존 확장…거거익선 TV 트렌드로 판매 승부수
-
MS, 10월 3일부터 파트너 프로그램 변경...'클라우드 기술 중심'
-
"여기저기 널린 시신에 무덤"...러軍 점령 마리우폴, 전염병 우려
-
봉하마을 찾은 여야…'노무현 정신' 동상이몽
-
삼성, 글로벌 IoT기업 10곳과 스마트홈 표준 검증
-
우리나라 첫 달 탐사선 공식명칭은 '다누리'
-
“상조회사로 가겠습니다”…보험사, 콜센터 직원 이탈 '곤혹'
-
"시스템 반도체 강국, SW 경쟁력 먼저 키워야"
-
경찰, 음저협이 고소한 OTT '불송치'…저작권 갈등 변곡점
-
KAIST, 최대 20개 바이오마커 동시 탐지 '피카소' 개발
-
한덕수 국무총리 취임 “대전환 시대 선도하는 대한민국 만들 것”
-
대전시, 주차공유 플랫폼 앱 '꿀파킹' 개발...600개 주차장 정보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