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보급에서 시민 참여 모델로 전환
내년 640억원 16개 기초지자체 선정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2025년까지 2560억원을 투입, 중소도시에 시민 참여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를 조성한다. 정부가 솔루션을 보급하는 형태에서 벗어나 계획 수립부터 이용자가 참여하는 주민 참여형 모델로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내년부터 '중·소도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을 추진, 2025년까지 잠정 2560억원(국비 1280억원 포함)을 투입한다. 내년에는 총 640억원으로 16개 기초지자체(특별자치시·도 포함)를 선정해 사업을 추진한다. 선정 도시별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40억원을 공동 투자하게 된다. 매년 16개 중소도시를 선정해 2025년까지 총 64개 사업지에 스마트 솔루션을 보급해 도시문제의 효율적인 해결을 모색한다.
도시 서비스 향상을 위해 주민이 도시문제를 찾고 상응한 솔루션의 구축계획과 성과목표를 정하게 되면, 추진과정에서 정부·지원기관의 적절한 컨설팅도 지원받을 수 있다.
12월 27일부터 모집해 내년 2월 초 중·소도시 16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 이후 지자체별로 세부 실시계획 수립하고, 사업에 착수해 1년간 솔루션 구축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우수한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전국으로 확산하고 지자체 사업역량을 강화해 주민 체감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별도로 국토부는 스마트시티에 적용될 새로운 혁신기술을 발굴, 실증하기 위한 사업도 내년 1월까지 공고할 예정이다. 지자체·민간·대학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기술을 실증하는 사업에 10곳을 선정하고 개소당 최대 15억원 지원한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