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판교테크노밸리 성공 요인

판교테크노밸리는 서울 강남 테헤란밸리 기업과 인력을 흡수하면서 성장했다. 당시 테헤란밸리에 벤처기업들이 모이면서 공간 부족과 비싼 임대료가 문제점으로 떠올랐다.

경기도는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 테헤란빌리와 같은 100만평 규모 혁신클러스터 구축을 진행했다. 정부와 협의과정에서 제1판교테크노밸리가 20만평으로 줄어들자 제2, 제3 판교테크노밸리를 추진했다.

판교의 성공 요인으로는 서울 강남과 인접성과 관리 방식이다. 대중교통으로 20분 안팎이면 오갈 수 있다. 포화상태인 강남에서 탈출해 값싼 임대료로 사무실을 쓰고 강남과 비슷한 문화시설을 누릴 수 있게 했다. 또한 얼마든지 강남으로 오갈 수 있어 직장인들어게도 판교는 부족함이 없는 조건을 가졌다.

클러스터 내 용지 구역을 세분화해 그에 맞는 기업과 업종이 들어오도록 했다. 초청연구용지, 일반연구용지, 연구지원용지, 주차장용지로 나눠 기업이 연구지역으로 들어가면 혜택을 줬다. 파스퇴르연구소의 경우 초청연구용지에 들어오면서 용지를 무상으로 주고 건물 구축은 일부 부담했다. 이런 방식으로 유명 기업들을 유치했다.

경기도는 관리 주체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 일임했다. 시설관리뿐만 아니라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사업을 펼치도록 했다. 판교테크노밸리는 택지개발촉진법에 따른 도시지원시설용지로 지어져 용도와 업종을 더욱 세밀하게 나누고 관리 용이성을 높였다. 일반산업단지는 허가권이 시·도지사에게 있다. 입주 후에는 관리 주체가 없어지는 게 일반적이다. 통상 기초지자체에 위임하는데 대부분 민간에서 협의체를 만들어 관리한다.

일반산단은 업종을 정해도 특정 업종으로 정하기 쉽지 않다. 판교는 처음부터 정보통신기술(ICT) 및 ICT융·복합 산업으로만 한정했다. 여기에 10년 전매제한, 20년 업종제한을 뒀다. 치밀한 계획으로 건설된 판교는 기업들이 앞다퉈 들어오고 싶은 4차 산업혁명의 중심 클러스터가 됐다. 기업이 판교에 있다는 것 자체로도 브랜드로 인정받는다.

제1 판교테크노밸리는 이제 포화상태에 근접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경기도는 제2, 제3 판교로 확장을 계획한다. 올해 제2 판교테크노밸리가 완공을 앞두고 있다. 제3 판교까지 완공되면 제1 판교에서 부족했던 주거, 문화 공간이 충족될 것으로 보인다.

전병선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과학이사는 “직장과 문화시설 주거공간이 해결되지 않으면 테헤란밸리처럼 판교밸리에서도 제3의 공간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면서 “판교밸리 확장과 더불어 기업이 원하는 것을 지원해 줄 수 있는 관리 주체도 노하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희기자 jhak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