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 내 코로나19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특허출원이 급증했다.
특허청은 실생활 속 '3밀'(밀폐·밀접·밀집) 대표 장소인 엘리베이터 내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기술 관련 특허출원이 지난 10년간(2010~2019년) 연평균 15건 수준이었으나 코로나19 세계적 유행에 따라 지난해만 114건으로 대폭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기술별 출원을 살펴보면 비접촉식 정보입력 40건(35%), 내부 공기 정화 및 살균·소독 38건(33%), 버튼 살균·소독 36건(32%) 등이다.
비접촉식 정보입력 기술은 적외선 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해 사람 손을 인식, 정보를 입력받는 방식과 음성 및 스마트폰 등을 통해 정보를 입력받는 방식 등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내부 공기 정화와 버튼 살균·소독 기술은 엘리베이터 내 사람이 없을 때 살균제 살포 또는 UV(자외선)로 살균·소독하는 방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내부 공기 정화와 살균·소독과 버튼 살균·소독 기술 분야 출원은 매년 10건에도 미치지 못했으나 지난해 각각 38건, 36건으로 증가 폭이 더욱 컸다.
출원인별로는 2019년까지 기업·연구기관 출원 비중(71%)이 높았으나 지난해 개인(61%) 비중이 기업·연구기관(39%)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엘리베이터 이용 시 짧게는 수십 초에서 길게 2~3분까지 '3밀' 상태에 놓이게 돼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바이러스 전파 위험이 크게 다가왔으며 이때 떠오른 아이디어가 사장되지 않고 특허출원으로 이어진 결과로 보인다.
박주성 특허청 운송기계심사과 심사관은 “엘리베이터 사례와 같이 실생활에서 느끼는 문제점과 불편 해소를 위한 아이디어가 특허출원으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정책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