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표준화·보안' 보장, 산업 발전 선결 조건

구글·아마존 등 표준 규격 '매터' 발표
국내 종속성 높아…홈IoT 취약점도 급증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IoT 보안 취약점 신고 건수

코로나19 유행 이후 급성장하는 스마트홈 산업에 기대와 우려가 상존한다.

우리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가전·통신기술, 정보기술(IT) 수용도 등을 고려하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평가다. 여기에 에너지, 헬스케어, 자동차 등 이종산업과 연계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만들면 파급력은 더 크다. 그러나 건설, 가전, 통신 등 스마트홈 산업을 이루는 플레이어가 제각각 움직인 데다 보안 등 잠재 위협에 대한 무관심 등은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표준화, 보안 등 선결조건이 보장되지 않는 한 '반쪽짜리 스마트홈'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스마트홈 서비스 기본은 기기 연동 환경이다. 집안의 다양한 홈 사물인터넷(IoT) 기기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동되고 통합 제어가 가능해야 한다.

Photo Image
매터 현황

현재 국내 스마트홈 산업을 이루는 축은 건설, 가전, 통신업계다. 문제는 이들이 자체 스마트홈 플랫폼을 이용해 독자 생태계를 이루려는 데 있다. 자사 제품에 대한 최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체 플랫폼을 제공할 수밖에 없다는 게 이유다.

파편화된 플랫폼은 연동 환경에 제약이 생길 수밖에 없고, 사용자는 해당 기기에 맞춰 복수 플랫폼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뒤따른다. 홈IoT 기기 연동에 따른 거대 스마트홈 생태계 확산에 걸림돌이 된다.

남우기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장은 “우리나라 스마트홈 산업의 가장 큰 장애물은 표준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인데, 이는 가전 간 연동 환경을 가로막아 산업 발전 저해는 물론 소비자 불편을 가중한다”면서 “표준을 적용하지 않은 제품은 추후 업데이트나 다른 가전과 연동, 보안 등에 중요한 문제가 된다”고 말했다.

지난 6월 글로벌 스마트홈 시장 선두인 구글과 아마존, 애플 등은 홈IoT 통신 표준 규격인 '매터(Matter)'를 발표했다. 특정 스마트홈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홈IoT 기기를 제어하는 시대를 알린 것이다. 연말까지 시범 서비스를 진행한 뒤 내년 초부터 본격 적용될 전망이다.

파편화된 국내 산업 지형을 고려할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서비스 제공업체의 종속성이 큰 국내시장과 달리 글로벌 시장은 플랫폼 종속성을 없애 무한경쟁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코웨이 등 일부 가전사가 이 표준화 움직임에 동참해 대응 중이다. 그러나 표준을 적용한 제품을 출시할지는 미지수다.

Photo Image
IoT 보안 취약점 신고 건수(자료: KISA)

갈수록 커지는 스마트홈 보안도 위협 요소다. 가정 내 홈IoT 기기가 늘면서 다양한 보안 취약점도 보고된다. 홈IoT 기기는 스마트조명, 디지털 도어록, 월패드 등 중소기업 제품이 대부분을 차지해 상대적으로 보안이 취약하다. 해커가 개인정보를 빼내거나 출입문, 보일러 등 각종 기기를 임의로 조작해 문제를 일으키는 것도 어렵지 않다고 전문가는 지적한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IoT 보안 취약점 신고 현황에 따르면 2015년 130건을 기록했지만 2019년 334건으로 2배 이상 뛰었다. 아파트나 공동주택은 전 세대가 공동 통신망을 쓰면서 한 가구가 해커에 의해 장악되면 최소 해당 층 전체를 장악하는 결과까지 나온다. 정부도 이 같은 문제를 인지, 연내 관련 고시 개정으로 보안 규정을 신설할 예정이다.

남 회장은 “스마트홈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이어지지만 표준화와 보안이 선결되지 않으면 모래 위의 성과 같다”면서 “기본 인프라에 해당하는 표준화, IoT 보안을 확보한 뒤 서비스 개발에 집중해야 산업 발전은 물론 소비자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용철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