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핫이슈] 코로나19 호흡으로 감염되면 더 위험...실내 감염 위험도가 4배 더 높아

Photo Image

공기를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될 때 폐 손상이 훨씬 심각하고 개방된 공간보다 실내에서 감염될 위험이 4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엔 공기 감염 여부조차 파악하지 못했지만 이젠 방역 핵심이 공기 감염 차단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최근 국내외 연구진은 감염 경로에 따른 코로나19 위해성, 실내·외 감염 위험도를 실험을 통해 밝혔다.

미국 국립 보건원(NIH) 산하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NIAID)는 공기를 통해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실렸다.

연구진은 코로나19 노출 경로와 위중 증세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햄스터를 모델로 실험을 진행했다.

한 개 군은 바이러스에 오염된 비말을 직접 들이마시는 방식으로, 다른 군은 바이러스를 묻힌 접시를 통해 감염시켰다. 그 결과 비말을 통해 침입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곧바로 폐의 깊숙한 부위까지 침입한 반면에 접시 표면 접촉으로 들어온 바이러스는 코안에서 초기 복제 단계를 거쳤다.

비말, 접촉 감염 모두 본격적 바이러스 복제는 폐에서 이뤄졌지만 폐의 손상 정도는 비말 감염일 때 훨씬 심했다. 호흡을 통해 비말이 한꺼번에 폐까지 침투할 때 중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비말의 움직임은 예상대로 공기 흐름에 큰 영향을 받았다. 감염된 햄스터 쪽에서 감염되지 않은 햄스터 쪽으로 향한 공기 흐름을 반대로 돌리자 바이러스 전염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졌다.

연구진은 코로나19 실내 공기 전염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춘 현행 방역 가이드라인이 적절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국내 연구진은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실내에서 실외 대비 4배가량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문진영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전공의, 류병한 창원경상국립대병원 감염내과 임상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12월까지 국제학술지에 실내공간에서의 호흡기계 질병 감염 위험을 주제로 발표된 5만9179편 문헌을 검토해 최종 147편 연구를 메타분석했다. 전파 경로는 공기 또는 비말로 한정했다.

코로나19만을 별도 분석한 결과 전파 위험이 개방공간 대비 실내공간에서 4.08배 높았다. 공간별로는 주거공간이 8.30배, 비행기 7.30배, 군함 1.80배, 병원 1.78배로 나타났다.

병원균별 감염 상대위험도는 메르스가 12.58배로 실내공간에서 가장 전파 위험이 높았다. 뒤를 이어 백일해를 일으키는 병원균이 7.08배, 볼거리 병원균 4.84배, 코로나19 4.08배, 사스 2.86배, 결핵 2.71배, 인플루엔자 2.20배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들은 마스크 착용, 환기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우는 근거로 활용될 전망이다. 또 기존 방역 정책과 전략을 개선하는 데도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문진영 전공의는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공간별 비말·공기 전파 위험에 대해 양적으로 분석한 최초 연구로, 방역 정책에 따라 공간별 풍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점을 방역 당국이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