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에듀 통합플랫폼, '공공 중심+민간 보조'아닌 개방형시스템 완성해야

Photo Image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래 교육 환경을 구현할 'K-에듀 통합플랫폼' 정보화전략계획(ISP)을 통해 구성안과 로드맵이 공개됐다. 전문가들은 교육활동 전반을 뒷받침하는 디지털 인프라로서 의미가 크다면서도, 민간이 보조로 들어가는 반쪽짜리 '통합' 플랫폼 형태에 대해서는 우려했다.

K-에듀통합플랫폼 ISP 사업은 통합포털 형태로 민간과 공공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학교 사용자가 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개방형 플랫폼 방식이다.

에듀테크 업계는 K-에듀 통합플랫폼이 민간, 공공의 개방형 시스템이 아니라 공공 중심 통합플랫폼으로 완성된 후 민간 에듀테크 서비스는 보조 서비스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몇 개 서비스가 들어가는 보조적 역할에 그칠 경우 오히려 공공이 일일이 기술수준을 따라가야 하는 부담을 안는다. 구글 등 글로벌 에듀테크 기업들의 기술·서비스에 뒤쳐진다면 교사나 학생들이 통합플랫폼을 두고 민간 서비스를 다시 찾아 이용하는 형태가 반복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업계는 세부 개발 계획 수립 이전에 추가 논의와 부처 간 협업 등 보완책을 요구하고 있다.

ISP 수립을 위한 민·관·연 협의체 등 자문과정에 참여했던 한 관계자는 “공공은 가이드라인과 프레임워크, 로드맵만 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술은 민간 영역이어야 하는데 여전히 공공이 직접 개발, 운영, 관리하는 기존 사업모델처럼 보인다”고 지적했다.

플랫폼 설계 및 구축, 운영까지 사업 규모가 매우 큰데 개발 기간은 촉박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당장 올 하반기 ISP/MP를 마무리하고, 내년 상반기 제안요청서(RFP)를 만들어 입찰 후 개발을 시작해도 2023년 1단계 오픈부터 개발기간이 지나치게 촉박하다는 것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교육 포털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데이터 저장, 보관, 활용, 분석 등의 기능도 담겼다. 시스템 등 소프트웨어 부문 개발 예산은 약 300억~500억원대로 추산되지만,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 구축 사업은 3000억원대 초대형 사업이다.

Photo Image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원격수업 서비스는 초반 출석 시간대인 8시 30분~9시까지 전체 사용자(550만명)의 20%인 130만명 이상의 사용자가 한꺼번에 몰린다. 시스템 효율성과 안정성이 모두 필요하다.

전례 없는 공공·민간 플랫폼 구축에 기술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공공 클라우드 사업 등을 해 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등의 참여 및 부처 간 협업이 필요하다는 업계 의견도 나온다. 미래 교육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국가 단위 통합 플랫폼이니만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간 협업 형태로 세부 과제를 설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개발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향후 운영도 쉽지 않은 일이다. 시도교육청에서 별도의 교육 포털을 구축한 사례도 있으며, 향후 운영비용을 교육부와 교육청, 학교가 각각 어떻게 부담할 것인지도 논의가 필요하다.

인공지능(AI)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맞춤 학습 시스템 구축도 아직 세부 계획을 잡지 못했다. 교육데이터 개방 및 활용을 위한 교육빅데이터위원회가 이달 초 처음으로 공식 출범했다. 교육데이터 관련 정책 추진 방향을 수립하고 활용 기준 등을 수립한다. 위원회 구성이 최근에 이뤄진 만큼 ISP에서도 이러한 교육 데이터 활용 방안에 대해 세부 이행방안이 공백으로 남아있다.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K-에듀통합플랫폼은 AI시대 미래 교육의 근간이 되는 만큼 큰 틀에서 데이터 생성·관리·활용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면서 “교육 분야 기술 활용에서 문호를 개방하고 열린 마음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