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산사태 예보 첨단기술 접목...조사·복구도 스마트 시스템 구축

Photo Image
1일 김용관 산림보호국장이 정부대전청사에서 케이(K)-산사태방지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산림청이 산사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첨단기술을 접목한 예보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한다.

산림청은 1일 산사태 위험지도 및 예보시스템 고도화, 사방구조물 배치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보급 등 내용이 담긴 'K-산사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먼저 4차 산업혁명 관련 첨단기술을 도입해 산사태 대응 기반을 구축한다.

현재 산사태 위험지도는 강우에 따른 등급 변화가 없어 지난해 같은 극한 강우 상황 시 위험성 분석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 강우 상황을 반영해 위험 등급이 변화될 수 있도록 산사태 위험지도를 고도화한다. 극한 강우에 따른 위험등급 변화가 표출돼 국지적으로 보다 정확한 산사태 위험 예측과 정보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사태 예측정보(주의보·경보)는 현재 1시간 전(초단기)에 지방자치단체에 제공되고 있으나 앞으로 제공 시기를 단기(12∼24시간), 중기(24∼48시간)까지 장기화해 유사 시 선제적인 주민대피가 이뤄지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올 하반기 기상청 초단기 예보모델(KLAPS)을 활용해 12시간 전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시범 운영한다.

또 전국 363개소가 있는 산악기상관측망을 2025년 620개소까지 확대 구축해 산악지역에 특화된 기상정보 활용으로 산림기상 산사태 영향을 연구하고 산사태 방지 정책에 활용한다.

산악기상관측망을 통해 수집한 산악기상 빅데이터를 개방하고 활용해 임업 및 관광업 등 다양한 산업과 연계하고 단풍·개화시기, 등산 쾌적지수 등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정보도 제공한다.

산사태 피해 이후 조사·복구 체계도 기존 제도에 최신 기술을 접목해 고도화한다.

산사태 발생 정보 데이터베이스(DB) 국가 표준화, 디지털화된 산사태 현장 표준 상황도 마련, 피해·발생 규모에 따른 조사 방법론 정립 등 과학적인 조사체계를 마련한다.

스마트 산사태 복구시스템 구축으로 복구설계 시 사방구조물 배치에 따른 효과 분석 등 의사결정 지원과 라이다(LiDAR), 드론 등 항공 촬영을 활용한 피해 현황 및 분포정보 탐지기술을 보급한다.

이밖에 산사태피해 우려지역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 위험을 사전 차단하고, 급격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법·제도 정비로 견고한 산사태 안전망을 구축한다.

김용관 산림보호국장은 “최근 동북아지역을 중심으로 이상기후 현상이 도드라지며 우리나라도 산사태 피해가 커지는 추세”라며 “지난해 같은 기록적인 장마 혹은 태풍이 내습하더라도 'K-산사태 방지 대책'을 기반으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