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대학 기술사업화 성공하려면...컨트롤타워에 예산·인사·조직 권한과 책임 부여

Photo Image
27일 메종글래드 제주에서 전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 연구처장 협의회 제49회 춘계 세미나가 열렸다.

대학과 산업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산학연협력'은 2003년 산학협력법 제정 이후 비약적 발전을 했다. 한편에선 대학 연구성과를 실제 사업화하는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성과가 낮다는 진단이다. 교육, 인재양성, 연구개발, 기술창출, 사업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가 필요하다.

27일 메종글래드 제주에서 열린 전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연구처장 협의회 제49회 춘계 세미나에선 대학 기술사업화 성공사례와 전문가 제언이 이어졌다. 핵심은 기술지주회사의 거버넌스 확대라는 주장이다.

최경민 부산대 산학협력단장은 기술사업화 성장 한계를 △국가주도 지원 및 인프라 확대 △정부사업 중심의 단기성과 창출 △대학 기술사업화를 둘러싼 부처(지원사업)와 관련 법령의 분산 △연구자의 기술사업화 동기부여 약화 △기술사업화 주체간 인식의 차이로 꼽았다.

최 단장은 “지속적 기술사업화 성과 창출을 위한 기술사업화 컨트롤타워가 중요하다”며 “인력, 제도, 조직의 고도화를 통한 기술사업화 선순환 에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부산대는 국립대 유일의 기술지주 중심의 기술이전 사업화 통합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기술사업화 전담조직을 산학협력단장(기술지주 대표) 직할부서로 예산, 인사, 조직의 권한을 이임하고 성과에 대한 책임을 부여했다.

부산대 기술지주회사는 자회사에서 소아조로증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초기 기술이전 계약을 시도했으나 여의치 않자 기술지주 주도로 자회사를 설립했다. 이 과정에서 기술지주회사가 초기 투자 유치 및 시제품 제작을 적극 지원하고, 현재 유망 바이오벤처로 성장 중이다.

이지훈 한국기술지주회사협회 사무국장은 “기술지주 중심의 단일화된 창구를 통해 기술이전, 자회사, 교원창업, 학생창업 등 사업화 이전단계부터 상용화까지 전주기를 밀착 지원하는 프로세스가 구축됐기 때문”이라고 부산대 기술사업화 성공 배경을 설명했다.

이 사무국장은 대학 기술사업화가 성공하려면 투자재원 확보, 기술사업화 전문인력, 사업화 가능한 우수기술 발굴이 핵심 요소라고 분석했다. 시장 중심의 인큐베이팅 및 체계화된 거버넌스 확보를 위한 독립적 의사결정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