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연, 미세먼지 최대 60% 저감 가능한 버스정류장 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김병석)이 미세먼지와 매연으로부터 시민을 보호하는 '식물을 활용한 미세먼지 제로 버스정류장'을 개발했다.

기존 버스정류장은 시민들이 차량을 기다리며 매연을 바로 흡입할 수밖에 없다. 문수영 연구위원팀은 버스정류장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줄이고 유입된 미세먼지와 매연 등을 정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 시스템을 버스정류장에 적용했다.

건설연이 개발한 미세먼지 제로 버스정류장은 식물과 필터를 이용해 공기를 정화한다. 건설연은 상용화 제품을 개발하고 지난해 12월 서울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 앞 시티투어 버스정류장에 이를 설치했다. 미세먼지 저감 성능을 측정한 결과 동일 지점 실외 공기보다 미세먼지가 최대 60%까지 저감됐다. 지난 4월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실증적으로 모니터링 한 결과 저감량이 미세먼지(PM10)의 경우 평균 43%, 초미세먼지(PM2.5)는 평균 45%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Photo Image
동대문에 설치된 미세먼지 제로 버스정류장

2018년 한양대역 앞 버스정류장에 최초로 설치한 것은 실외 개방형임에도 최대 50%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었다.

미세먼지 제로 버스정류장은 올해부터 부산지역에 공급되는 '베리어프리 스마트 승차대' 구축시에도 일부 적용될 예정이다.

미세먼지 제로 버스정류장은 미세먼지, 건강, 쾌적성, 도시 생태, 경관 측면에서 복합적인 효과를 낸다. 대중교통 이용 시민에게 쾌적한 공기와 열섬 저감 효과를 제공하고 아름다운 식물 조경으로 도시경관 개선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정류장 신산업에 새로운 차별 요소가 될 수 있다.

문수영 연구위원은 “상용화된 미세먼지 제로 버스정류장을 모듈화 시스템으로 보완하고 다양한 재난 상황에도 유연히 대처할 수 있도록 운영 시스템을 보강할 예정”이라며 “버스정류장이 전국 단위로 구축되고 유지될 수 있도록 경제성으로 소요되는 비용을 최대한 절감하는 버스정류장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건설연 주요사업인 '도로변 유동인구 밀집지역 미세먼지 저감 및 실증 기술 개발(2018~2021년)'을 통해 기초기술을 개발했다. 코로나19 중소기업지원사업 '식물을 활용한 미세먼지 제로 버스정류장 연구개발(2020년)'로 상용화 개발에 성공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