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핑소스·서울로보틱스와 협력
성수 본점서 시범테스트 진행
올해 초 조직통합 DT본부 신설
'리테일테크' 서비스 모델 구현

Photo Image
이마트 매장에서 고객이 장을 보고 있다.

이마트가 인공지능(AI) 카메라와 라이다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등 첨단 기술을 오프라인 매장에 접목하는 실증 테스트에 나섰다. 고객 데이터를 다각도로 수집해 매장 운영에 적극 활용하고, 리테일테크 기반의 서비스 모델도 구현한다.

이마트는 올해 본점인 성수점에서 딥핑소스, 서울로보틱스 등 정보기술(IT) 업체와 협업해 고객 동선 데이터를 추출하는 시범 테스트를 진행했다. 매장을 찾은 고객의 이동 경로 정보를 수집해서 마케팅에 활용하기 위한 실증 작업이다. 협업을 맺은 딥핑소스는 카메라 기반의 익명화 솔루션 제공 업체다. 대형마트는 보안 카메라에 녹화된 고객들의 동선을 수집해서 상품 진열이나 위치 구성, 맞춤형 마케팅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전에는 고객에게 일일이 개인정보 활용 동의를 받아야 했기 때문에 서비스 구현이 불가능했다.

딥핑소스의 비식별화 기술을 적용하면 머신러닝에 필요한 데이터를 개인정보보호법 저촉 없이 안전하게 수집하고,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딥핑소스는 카메라 영상에서 추출한 객체를 AI를 이용해 익명화 작업을 거친다. 데이터 원천 단계부터 실시간으로 비식별 처리, 개인 식별이 불가능하다. 그 대신 필요한 핵심 정보는 그대로 남아 원본과 동일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마트는 딥핑소스 기술을 활용해 매장에 입장한 고객마다 각각의 코드를 부여해서 동선을 추적하고, 이렇게 수집한 정보를 마케팅에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이동 데이터를 분석하면 특정 시점에 할인을 얼마나 해야 고객들이 반응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Photo Image
딥핑소스 익명화 솔루션

서울로보틱스의 SW를 고정형 라이다 센서에 적용해서 고객 위치와 동선을 추적하는 시험도 진행한다. 서울로보틱스는 라이다, 이미징 레이더, 3차원(3D) 카메라 등 3D 센서의 데이터 인식 솔루션을 개발하는 업체다. 해당 솔루션은 미들웨어(MW)로, 3D 센서 성능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서울로보틱스가 완성차를 상대로 자율주행 라이다 SW도 공급하고 있는 만큼 이마트의 자율주행 모빌리티나 로봇 구현에 활용될 가능성도 열려 있다. 매장 내 고객을 뒤따르는 무인카트나 자율주행 배송차량 등이 대표적이다. 물류 자동화 등에도 기술을 접목할 수 있다.

이보다 앞서 이마트는 사내 기술연구 조직 S랩을 통해 스마트카트 '일라이'와 자율주행 배송 차량 '일라이고' 등을 시범 운영해 왔다. 차세대 스마트카트 상용화를 목표로 LG전자와 공동 개발에도 나섰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협업이 종료됐다. 이후 이마트 자체 개발에 나선 만큼 전문 업체의 라이다 센서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이마트 DT(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본부에서 총괄하고 있다. 이마트는 올해 초 디지털사업부와 시스템개발·기획팀, S랩 등 조직을 통합해 DT본부를 신설했다. DT본부장에는 SK텔레콤 출신 AI·데이터 전문가인 진요한 DT 추진그룹장을 영입했다. DT본부는 이마트의 온·오프라인연계(O2O) 서비스의 고도화뿐만 아니라 각종 첨단 기술을 접목한 리테일테크 구현을 주도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마트 관계자는 3일 “다양한 실증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아직 상용화 단계는 아니다”면서 “데이터 기반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실효성 여부 등을 다방면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준호기자 junho@etnews.com, 박진형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