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4/1404400_20210416105556_580_0001.jpg)
정부가 차량용반도체 수급 차질에 대응하고자 단기간에 사업화가 가능한 품목을 발굴해 우선 지원하고 예산도 내년도 대폭 증액할 방침이다.
또 올해 미래차 연구개발(R&D)에 작년보다 37% 확대된 3679억원을 지원하고, 현재의 투자강화 기조를 2025년까지 강력하게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제8차 혁신성장 BIG3(미래차·바이오헬스·시스템반도체) 추진회의에서 “차량용반도체 수급 차질이 지속되면서 글로벌 완성차의 생산 차질이 확대되는 상황”이라면서 “기존 차량용반도체 수급 대책에 이어 추가 과제를 발굴해 집중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먼저 “단기간 사업화가 가능한 품목을 발굴(4~5월 중 사업공고)해 '소재·부품·장비' 사업을 통해 우선 지원하고 내년에는 관련 예산을 대폭 증액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래차 전력 소비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SiC·GaN 기반 전력반도체 등에 대한 신규 연구·개발(R&D) 예산도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 부총리는 “미래차·반도체 연대·협력협의체를 통해 수급안정 협력과제를 발굴하고 4월 중에는 중장기 차량용반도체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또 정부는 내연기관차에서 친환경, 자율주행차 중심으로 재편되는 기조에서 미래차 핵심기술 확보 경쟁을 위해 3679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한다.
정부는 미래차 핵심기술인 배터리, 수소연료전지, 자율차 통신, 차량용 반도체, 차량용 센서, 자율주행 SW 등 6대 기술개발에 R&D를 집중 투자한다.
초고효율 하이브리드 시스템 등 내연차 고도화와 함께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기술개발 수요를 반영한 지원을 통해 미래차로의 원활한 생태계 전환도 지원할 방침이다.
자율주행차를 접목한 택시·배송 등 다양한 서비스모델도 개발, 수요자 요구 등을 반영한 단계적 보급 확산에 주력할 계획이다.
정부는 2025년 전국 고속도로 및 지자체 주요 거점에서 자율주행 상용서비스 제공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상암 등 6개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에서 유상실증서비스를 올해 상반기 중 개시하고, 하반기부터 실증결과를 토대로 규제·법령 정비를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중 자율주행 대형버스 개발을 완료하고, 교통약자 이동지원, 긴급차량 통행 지원, 공유차, 사고 예방 순찰 등 7대 핵심 공공서비스 개발도 지원한다.
아울러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을 다음 달까지 수립하고, 부처별 자율주행 데이터 연계를 통한 서비스 개발 지원 및 자율자동차 제작부터 전 과정을 통합한 신규 데이터 플랫폼을 2025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유재희기자 ryu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