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쇼핑 "백화점 울고 마트 웃고"…지난해 영업익 19.1%↓

Photo Image

롯데쇼핑이 지난해 코로나19 타격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며 백화점과 컬처웍스 사업이 부진했다. 할인점의 경우 구조조정 효과로 수익 개선에 성공했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롯데쇼핑은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 3461억원으로 전년대비 19.1%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6조762억원으로 8.8% 줄었고, 당기순손실 6709억원으로 적자폭을 1456억원 줄였다.

백화점 부진이 뼈아팠다. 코로나19 직격탄으로 매출이 부진하며 고정비 부담이 늘었다. 롯데백화점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3280억원으로 전년대비 36.9% 급감했다. 해외명품·가전 등 고가 상품 호조에도 불구하고 매출액은 15.2% 감소한 2조6550억원에 그쳤다. 해외 사업은 선양점 영업종료와 충당금 환입, 베트남 사업 영향으로 흑자 전환했다

반면 할인점은 수익 개선에 성공했다. 롯데마트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90억원으로 연간 흑자 전환했다. 기존점 매출 신장과 구조조정에 따른 판관비 절감에 힘입어 흑자를 거뒀다. 해외 점포도 적자 규모가 30억원 줄었다. 점포수 감소로 매출은 6조390억원으로 4.6% 줄었다.

슈퍼 사업도 부진점 구조조정 효과를 봤다. 롯데슈퍼 매출은 11조6560억원으로 11.0% 감소했지만 영업손실 200억원으로 적자폭을 840억원가량 줄였다.

Photo Image
롯데쇼핑IR

롯데하이마트는 지난해 매출 4조520억원 영업이익 1610억원으로 각각 0.6%, 46.6% 늘었다. 코로나 수혜로 인한 프리미엄 가전 수요 증가와 인테리어 시장 성장에 따른 매출 증가로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다. 홈쇼핑도 매출 1조760억원, 영업이익 1250억원으로, 각각 9.0%, 4.3% 신장했다. e커머스의 온라인 신규행사 강화, OneTV 채널개선 효과를 거뒀다.

반면 컬처웍스는 코로나19에 따른 영화관 객수 감소와 대형작품 미개봉 등의 타격으로 영업손실 1600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매출도 65.5% 급감했다. 롭스와 롯데온을 포함한 e커머스사업에서도 지난해 1060억원의 적자를 거뒀다.

롯데쇼핑 관계자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전반적인 소비 위축 속에서도 백화점, 마트, 슈퍼, 롭스 등 점포의 수익성 기준으로 비효율 점포 구조조정을 통해 적자폭을 축소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올해는 추가 점포 효율화 작업으로 오프라인 수익성을 개선하는데 집중하고, 보유 자산을 활용한 물류 거점화 점포를 확대하는 등 온라인 경쟁력 강화에도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준호기자 junh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