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모든 전기차의 데이터를 개방하라

세계 전기차 시장 확대로 차량 운행 데이터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방전 데이터를 활용한 후방 및 서비스 산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테슬라는 집단 운행 데이터를 활용해 이전보다 저렴한 보험 상품을 내놨고, 중국에서는 전기차 충·방전 데이터 기반 배터리 서비스(BaaS:Battery as a Service)가 등장했다. 데이터가 고객 비용 부담을 줄이는 데도 활용되지만 새로운 후방·서비스 산업까지 창출하고 있다.

현대차·LG화학·현대글로비스 컨소시엄과 피엠그로우·삼성SDI·선진운수 컨소시엄이 최근에 각각 '배터리 리스 및 재사용 사업'에 대한 산업융합 규제 샌드박스에 통과, 실증특례 자격을 획득했다. 현대차 측은 전기택시를 대상으로 피엠그로우 측은 전기버스를 대상으로 전기차의 배터리를 리스(대여)하고, 다 쓴 중고·폐배터리를 재사용하는 BaaS 사업을 할 수 있게 됐다.

사업을 통해 고객은 고가 배터리를 빌려 쓰는 초기 부담을 줄이면서 배터리 수명 관리 등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 받고, 사업자는 중고·폐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재사용하는 후방사업까지 영위할 수 있다. 그동안 정부 보조금을 받은 전기차의 배터리는 정부에 반납해야하는 규제 때문에 추진이 힘들었던 BaaS 사업이 이들 사업자에 한해 가능해졌다.

BaaS는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 차량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수익성을 올리는 게 핵심이다. 차량 위치 정보·주행거리 등 데이터와 충전기 전류·전압·충전량 등 데이터를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배터리 위험 상태뿐만 아니라 교체 시기나 전비 등 최적 관리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에다 수명이 다된 배터리를 수거한 이후 배터리 상태 파악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과도한 정밀 진단을 위한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 충전 분야에서 아직까지 시도해 보지 못한 급속 충전이 배터리 수명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고, 여름·겨울철 날씨 변화에 따른 차량 주행거리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Photo Image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니오가 전기차의 배터리를 자동교환해 주는 BaaS 사업을 론칭했다.

이렇게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테슬라는 10년 가까운 지난 시간 동안 자사 차량에서 추출한 이 같은 데이터를 활용해 세계에서 유일하게 라이다(LiDAR) 없는 자율주행차를 만들었고, 또 배터리 업체가 아님에도 데이터를 활용해 전기차에 최적화된 배터리를 개발 중이다.

이에 국내에도 전기차 관련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법적 제도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정부 보조금을 받은 전기차 배터리를 정부에 반납해야 하는 규정을 개선해 차량 각종 데이터를 필요한 업계와 공유해 관련 서비스 및 후방 산업을 창출하자는 이유에서다.

박재홍 한국전기차산업협회장은 “단순하게 배터리를 재사용·재활용하는 데만 초점을 두지 말고 이 데이터를 활용해 민간 기업이 새로운 서비스 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규정을 개선해야 한다”면서 “정부 보조금을 지원받은 모든 전기차 배터리 소유권보다 전기차 배터리·주행·충전 등 데이터 공유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