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가 내년 3월 액정표시장치(LCD) 생산을 중단한다. 중국 쑤저우 공장 매각에 이어 충남 아산에 있는 LCD 라인 가동을 3월로 종료한다. 1991년 LCD 사업을 시작한 지 약 30년 만에 삼성 LCD는 이제 한 시대를 마감하게 됐다.
LCD는 반도체, 휴대폰과 함께 '글로벌 삼성'을 일군 핵심이었다. 또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산업이 세계 1등으로 올라서는 발판이었다. 그러나 중국의 물량 공세에 LCD 시장은 '레드오션'으로 변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2/1364108_20201210150336_635_0003.jpg)
삼성의 LCD 사업 철수는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계에 숙제를 남긴다. 다음 세대를 잇고 세계 시장을 선도할 대형 디스플레이 육성 과제다.
삼성은 퀀텀닷(QD) 디스플레이로 차세대를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삼성의 QD-OLED 생산 능력은 연간 200만대 정도로 전 세계에 판매되는 TV(연간 2억대)의 1%에 불과하다.
LG디스플레이 역시 화이트 OLED 기술을 차세대로 보유하고 있지만 규모가 연간 400만~500만대로 전체 TV 시장의 2~2.5%에 그친다.
첫술에 배부를 리 없지만 세계 시장을 선도할 대형 디스플레이 솔루션이 부족한 상황에서 LCD는 이제 중국에 주도권을 넘기게 됐다.
앞으로의 숙제는 자명하다. 차세대 대형 디스플레이 기술을 빠르게 '대세화'해야 한다. 양산 전인 QD-OLED는 논외로 해도 화이트 OLED의 세 확산이 중요하다.
다행히 우리나라에는 세계 1, 2위를 차지하는 TV 메이커들이 있다. 삼성 TV에 LG OLED 패널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LG는 삼성의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이미지센서, 메모리 등 반도체를 교차 구매하면 된다.
지난해 말 구광모 LG 회장의 제안으로 이재용 삼성 부회장이 LG OLED 패널 적용 검토를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가시 성과는 없었지만 긍정적인 시도이고 환영할 일이다. 국가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을 위한 국내 기업 간 대승 차원의 협력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2/1364108_20201210150336_635_0002.jpg)
윤건일기자 ben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