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내년도 예산 11조2000억 확정…제조현장 디지털화 속도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년도 예산안과 기금운용계획이 국회 의결을 거쳐 총 11조1860억원 규모로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산업부 예산안(11조1592억원)은 국회 심의 과정에서 268억원 순증, 올해 본예산 대비 18% 늘었다.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서는 재정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는 범정부적 기조가 반영됐다.

Photo Image

산업부는 내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그린뉴딜 투자를 본격화한다. 재생에너지 관련 예산은 올해 1조2226억원 대비 36% 증가한 1조6710억원이다.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을 위해 △농·축산·어민들의 태양광 설비 융자 △산업단지 유휴부지 등을 활용한 태양광 설비 융자 △지역 주민들의 인근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금 융자 예산(주민참여 자금) 등을 늘렸다. 재생에너지 관련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예산은2839억원으로 확정됐다.

또 수소생산기지 구축에 666억원, 수소 유통기반구축 36억원, 그린수소 생산 및 저장시스템 기술 개발에 100억원을 각각 책정했다.

작년 일본 수출규제 이후 본격 추진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 강화 전략도 지속 추진한다. 산업부의 내년도 소부장 지원 전체 예산은 올해 보다 21% 늘린 1조5615억원이다.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이름바 '빅3' 산업 관련 지원에도 힘을 더한다.

산업부는 시스템반도체 육성을 위해 팹리스 육성부터 제품생산까지 모든 주기에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바이오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범부처가 신약·의료기기를 개발하는 R&D 예산도 대폭 늘렸다.

수출 활력 회복을 위한 무역보험기금 출연 예산은 3500억원이다. 해외 진출한 우리 기업들의 국내 복귀를 활성화하기 위한 유턴기업 전용 보조금 예산은 올해 200억원에서 내년 500억원으로 2.5배 확대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