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1/1359032_20201125162255_068_0001.jpg)
네이버가 로봇 두뇌 '아크'(ARC)를 공개했다. 내년에 완공하는 제2 사옥에 투입, 상용화한다.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로봇을 실시간으로 연결, 사옥을 관리하고 직원 업무를 효율화할 계획이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25일 개막한 '데뷰 2020'에서 “아크를 내년 완공을 앞둔 '세계 최초 로봇 친화형 빌딩' 제2 사옥에 접목할 것”이라면서 “기술 연구를 넘어 실제 로봇 서비스의 대중화 시점을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내년에 입주하는 제2 사옥에 아크를 적용해 로봇이 출입, 택배, 문서관리 등을 하는 형태로 운영한다. 로봇이 사내 카페에서 식음료를 배송하고, 사내 도서관 책 정리 등 빌딩관리 업무도 맡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크는 클라우드 기반 '멀티 로봇 인텔리전스 시스템'이다. 네이버가 지향하는 '로봇 대중화'를 이끄는 핵심 시스템이다. AI와 클라우드, 초저지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로봇을 연결하고 학습시킨다. 고가 센서에 의존하지 않아도 고도화·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석 대표는 “아크는 클라우드에 띄워진 하나의 거대한 지능”이라면서 “아크가 모든 로봇 두뇌 역할을 대신해 로봇 제작비를 낮추면서도 퍼포먼스를 최대한 낼 수 있는 구조”라고 소개했다.
아크는 크게 '아크 아이'와 '아크 브레인'으로 나뉜다. 아크 아이는 위성항법장치(GPS)가 통하지 않는 실내에서 현재 위치와 경로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사람의 '눈' 역할을 수행한다. 아크 브레인은 모든 로봇의 이동·측위·서비스 수행을 일괄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한다.
네이버랩스는 아크에 그동안 쌓아온 다양한 기술을 모았다. 실내 고정밀 지도를 제작하는 매핑로봇 M1을 비롯해 △GPS가 없는 실내에서 비컨 등 인프라 장비 없이 정밀한 위치 인식이 가능한 '비주얼 로컬라이제이션 기술' △레이저 스캐너 없이 맵클라우드와 강화학습 기반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어라운드 플랫폼' △5G 초저지연 네트워크 성능을 활용한 '브레인리스 로봇 기술'이 대표적이다.
석 대표는 “아크와 함께 구현을 희망하는 각 분야 기술 인재들의 적극 동참을 기다린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이날 웨일, 검색 등에서 앞으로 선보일 신규 서비스와 계획도 소개했다.
웨일 브라우저는 새로운 화상회의 툴 '웨일온(ON)' 베타 버전을 공개했다. 웨일온은 웨일 브라우저 자체에 탑재돼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사용할 수 있다. PC 브라우저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버전 모두에서 지원, 다양한 상황 적용이 가능하다. 올해 안에 정식 버전을 공개한다.
검색 파트는 일본 진출을 시도한다. 김상범 네이버 서치 사내독립기업(CIC) 책임리더는 “검색만족도를 더 높이기 위해 AI 기반 추천 기능을 도입하고, 검색시스템 속도와 안정성을 고도화하고 있다”면서 “내년 일본에서 라인과의 경영 통합을 앞둔 야후재팬과 협력, 일본 검색 시장에 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데뷰는 25일부터 사흘 동안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모바일, 클라우드, 네이티브, 머신러닝, AI, 검색, 비전, 로보틱스, 자율주행 등 소프트웨어(SW)와 하드웨어(HW)를 넘나드는 총 81개 세션이 펼쳐진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