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1/1358468_20201124104529_260_0001.jpg)
“지금까지는 블록체인 기술 개발 자체에 주목한 측면이 있습니다. 이제 블록체인을 실제 비즈니스에 접목하는 데 집중하겠습니다. 블록체인 기술과 금융사업 간 융합에 초점을 맞추려합니다.”
김형주 부산 블록체인규제자유특구 운영위원장이 본지에 던진 화두는 블록체인 실용주의였다. 김 위원장은 블록체인 기술개발보다 실제 비즈니스 모델 창출 모색에 집중했다. 블록체인으로 유동성이 확보돼야 부산광역시 경제에도 실질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논리를 거듭 강조했다.
부산 블록체인규제자유특구 운영위는 경제부시장과 전문가 등 23명으로 구성됐다. 블록체인특구 운영 기본방향, 산업 육성 자문 등을 수행한다. 김 위원장은 지난 9월 초대 위원장에 선임됐다. 특구 방향성을 제시하고 운영 효율화를 주도한다.
김 위원장은 인터뷰 내내 금융 신산업과 블록체인 접목을 강조했다. 새로운 금융산업에서 부산시가 홍콩, 런던처럼 세계 디지털 금융의 새 중심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규제자유특구를 둔 부산시 조례가 블록체인 제도 주도권을 선점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그간 특구가 열심히 서비스를 개발했지만, 아직까지는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수준이다. 부산시 차원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을 이해하고 공부하는 단계라고 본다”면서 “본격적으로 어떤 사업에 블록체인을 얹을 것인지 방향성을 고민할 때다. 좋은 적용처가 바로 금융”이라고 피력했다.
그가 그리는 구체 대안은 준공공형 디지털자산거래소다. 기존 암호화폐 거래에서 탈피, 콘텐츠, 데이터, 부동산 유동화 증권 등 각종 디지털 형태 자산을 사고파는 통합 거래소다. 기존 기관과 협의해 주식시장에 준하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는 것이 목표다.
김 위원장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준공공형 거래소 설립 작업에 착수한다. 내후년에는 결과물을 낼 것”이라면서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관련기관을 만나 설득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 정치권과 블록체인 산업을 이어주는 정무적 메신저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2007년 제17대 통합민주당 국회의원, 2011년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을 거쳤다. 2017년부터는 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이사장직을 맡고 있다. 업계에서 보기 드문 이력이다.
그의 목표는 부산에서 태동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금융 질서를 동북아시아 시장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부산에서 태동한 블록체인 디지털 금융 시스템을 장기적으로 후진국에 전파하고자 한다”면서 “우리나라의 블록체인 기술력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주변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정치 구조는 블록체인 산업 강점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